1월 생산자물가 0.9%나 올라
금리, 이자부담 우려 일단 동결
조만간 1.5%로 추가 인상 시사
연내 1.75∼2%까지 올릴 가능성
한국은행이 24일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을 3%대 높인 것은 ‘물가쇼크’를 통화당국도 인정했다는 뜻으로, 고물가 시대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이날 기준금리는 동결됐지만 한은이 제1목표인 ‘물가안정’을 위해 연내 기준금리를 1.75∼2.0%까지 올릴 가능성은 한층 높아졌다.
한은은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하며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1%로 제시했는데, 지난해 11월 전망 때보다 무려 1.1%포인트나 오른 수치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11월 전망 후 3개월간 물가상승 정도가 예상보다 크고 광범위하게 나타났다”면서 “초반 공급 요인에 의해 올랐던 물가가 근원물가로까지 상승 압력이 확대됐고 국제유가가 급등했으며, 우크라이나 사태가 심화하는 등 물가상승 요인이 강하게 나타나 연간 물가상승률 전망을 큰 폭 상향조정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실제로 물가 상승세는 연초부터 심상치 않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올해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4.24(2015년 100기준)로 전월(113.21) 대비 0.9% 상승했다. 지난해 11월까지 13개월 연속 올랐다가 12월 보합세로 주춤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상승 전환했다.
생산자물가는 일반적으로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올해 장바구니 물가도 따라 오를 가능성이 크다.
향후 국내 물가 전망의 최대 변수는 우크라이나 상황이다. 한은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높은 군사적 긴장이 장기간 지속되는 상황’을 가정해 이번 물가 예측에 반영했다. 전면전은 고려하지 않았는데 러시아의 이날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이젠 그마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총재는 “우크라이나 사태는 너무 가변적이고 불확실해 전면전 같은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지는 않았다”면서 “전면전이 된다면 곧바로 국내 물가상승 압력으로 이어지는 등 충격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중 고물가 행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에도 금통위가 이날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유는 급격한 인상에 대한 부담 때문으로 보인다.
한은은 지난해 8월 기준금리를 인상한 데 이어 11월과 지난달 두 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올렸다. 세 차례에 걸쳐 0.75%포인트 오르면서 기준금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갑작스러운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큰 폭으로 오른 시장금리를 더욱 자극해 가계 및 자영업자의 이자부담을 키울 우려가 있다. 이는 한은의 ‘단계적 통화정책 정상화’ 기조에도 맞지 않는다.
금통위는 선제적으로 조치한 기준금리 인상의 파급효과를 분석하면서 대내외 상황을 좀 더 살펴본다는 방침이다.
다만 추가 인상 시기가 늦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시장의 예상이다. 이 총재도 이날 기준금리 추가 인상 관련 질문에 “1.50%로 한 차례 더 올리더라도 통화 긴축정책으로 볼 수는 없다는 것에 금통위원들이 모두 동의한다”며 추가 인상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 총재는 또 연말 기준금리가 연 1.75∼2%에 이를 것이란 시장 전망에 대해 “합리적 전망”이라고 평하며 “물가, 성장, 지정학적 리스크, 감염병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판단해 적정수준으로 계속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