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성남시가 2023∼2030년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착수 보고회를 열어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에 나섰다. 인구 감소로 인구 100만명 이상의 대도시에 주어지는 특례시 혜택을 받지 못한 성남시가 본격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성남시는 시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은수미 시장과 시의원, 인구정책위원 등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남시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10월까지 7개월간 진행되는 이번 용역은 중부지역발전연구원이 맡는다. 연구에선 2030년까지의 인구정책의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인구 전망치와 전략 사업 등을 제시하게 된다.
성남시 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 93만948명으로 10년 전인 2011년(97만9323명)보다 오히려 4만8375명(4.9%) 감소했다. 이는 저출산과 수도권의 높은 부동산 가격, 원도심 재개발로 인한 일시적 인구 유출 등의 영향으로 시는 분석했다.
시는 향후 인구구조 변화와 시민 욕구 및 정책 수요를 파악해 중점 추진과제를 마련할 예정이다. 추진과제는 내년 1월 시행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성남은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4차산업 혁명 중심지로 부각해 행정 수요 인구는 주민등록 인구의 1.5배인 약 145만명 수준”이라며 “이에 맞는 실효성 있는 세부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