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진통 끝 합의한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지역갈등 불씨는 ‘여전’

입력 : 2022-04-06 01:00:00 수정 : 2022-04-05 11:41:0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대구취수원 구미이전반대추진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 4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 앞에서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중단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시가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나온 물을 공동 사용하는 내용의 협정을 체결했지만, 30여 년간 이어져 온 지역 갈등을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대구와 취수장을 공동 활용해야 하는 경북 구미지역 정치권과 일부 주민들이 여전히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취수관로 공사 등 향후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협정 체결 장소를 구미시에서 세종시로 급하게 변경하는 점 등을 들어 '밀실 협약'이라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5일 대구시에 따르면 전날 국무조정실과 환경부, 대구시, 경북도, 구미시, 한국수자원공사는 대구 취수원의 구미 이전을 골자로 한 '맑은 물 나눔과 상생 발전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하루 평균 낙동강 취수량 58만t 가운데 30만t의 물을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공급받게 됐다. 시는 협정 체결 직후 구미시에 일시금 100억원을 지원하고, KTX(고속철) 구미역과 공항철도 동구미역 신설에 협조하는 등 상생발전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구미 해평취수장 물은 대구 정수장까지 55㎞의 관로가 개설되는 2028년 이후 대구에 공급된다. 대구시는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공급받는 물을 제외한 나머지는 기존 문산·매곡 정수장 물을 초고도 정수 처리해 사용할 계획이다.

 

이번 협정은 지난해 6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의결한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구체화한 것이다. 위원회는 2028년까지 구미 해평취수장, 추가고도정수처리로 식수를 확보해 대구에 57만t, 경북에 1만8000t을 배분하기로 했다.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은 또 취수원 다변화로 지역주민 피해가 없도록 고려하고, 주민 참여 보장과 사업 착공 전 객관적인 방법으로 주민 동의를 구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하지만 구미시의회와 지역 주민들은 주민 참여와 동의 없이 구미시가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협정을 반대하고 있다. 구미시의회 대구취수원구미이전반대특위 측은 “취수원 이전 문제는 대구와 구미 간 문제가 아니라 낙동강을 취수원으로 이용하는 경북도 전체 문제”라면서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일부 정치인들이 구미 미래를 선거에 이용하는 꼴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종호 시의회 이전반대특위 위원장은 “시장이 시민 의중은 아랑곳없이 시민 주권 약탈 행위를 하고 있다"며 "법적 대응 방법을 검토하고 협정 체결을 주도한 관계자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김부겸 국무총리(가운데)가 지난 4일 낙동강 통합물관리 관계기관 협정체결식에서 협정서에 서명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구자근(구미갑)·김영식(구미을)의원, 김재상 구미시의회 의장 등 구미지역 일부 정치인들도 협정을 ‘구미 시민이 배제된 졸속, 밀실, 야합 행정’이라고 비판하며 반대 여론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 정부가 협정 체결 장소를 구미시청에서 정부세종컨벤션센터로 바꾸면서 '밀실 행정' 의혹이 더욱 짙어지는 모양새다.

 

한편, 대구시는 1991년 3월 발생한 낙동강 페놀 오염 사건 등에 이어 2009년 2월 구미국가산단 유해 화학물질이 대구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달성군 취수장 원수를 오염시킨다는 이유로 취수장 이전을 정부에 건의해왔다. 구미시와 지역민들이 이런 방침에 반발하면서 10년 넘게 갈등을 빚어왔다.


대구·구미=김덕용·배소영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안유진 '아찔한 미모'
  • 안유진 '아찔한 미모'
  • 르세라핌 카즈하 '러블리 볼하트'
  • 김민주 '순백의 여신'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