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시 ‘문화 약자’ 63만명 보듬는다

입력 : 2023-04-13 01:15:00 수정 : 2023-04-13 00:56:4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18개 동행사업에 636억 투입

저소득 청년에 年 20만원 바우처
6만여 초·중생 무료 공연 관람
파킨슨병 환자 첫 무용 교육도
“문화 매력 도시 서울 구현할 것”

서울시가 올해 문화 활동이 어려운 ‘문화약자’를 위해 636억원을 투입한다. 청소년과 청년, 신체약자와 취약계층 등 63만명의 문화예술 접근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12일 ‘2023년 문화약자와의 동행 주요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모두 18개 사업으로, 주요 지원 대상은 △청소년·청년층(100억원) △신체적으로 불편한 시민(5억원) △경제적으로 어려운 취약계층(503억원) △일반 시민(27억원) 등이다.

우선 만 19세 청년에게 올해부터 ‘서울청년문화패스’를 처음으로 발급한다. 서울에 거주 중인 만 19세 청년(2004년생 내·외국인) 중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청년을 대상으로 1인당 연간 20만원 상당의 문화이용권(바우처)을 준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2021년 처음 시행된 ‘공연봄날’ 사업도 올해 초등학교 6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사업 대상을 확대해 학생 6만6000명에게 무료 공연 관람 기회를 제공한다. 지난 4일 첫 공연 이후 12월까지 24개 공연장에서 45편, 200회 내외의 공연을 무료로 선보인다.

지난해 시범 운영했던 특수학교 학생 박물관·미술관 관람 지원 사업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3개 특수학교 6200명의 교원과 학생이 혜택을 보게 됐다. 예술적 재능이 있는 발달장애(지적·자폐) 청소년을 위한 장애청소년 미술교육 지원사업도 7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추진한다.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무용예술 교육을 지원하는 ‘댄스 포 피디’ 사업은 올해 처음 시작된다. 서울무용센터 전용공간에서 상·하반기(4·9월) 각 10주 동안 20주에 걸쳐 20명의 파킨슨병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무용 교육이 펼쳐진다. 경제적으로 어려워 문화예술 향유 기회가 적은 취약계층도 지원한다. 저소득층 예술영재 교육 지원사업을 통해 기준 중위소득 100% 미만 가정의 음악·미술에 재능 있는 청소년 260명(음악 155명, 미술 105명)을 교육한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게 문화·여행·체육 활동이 가능한 11만원의 통합문화이용권을 제공하는 ‘서울문화누리카드’는 약 45만명을 대상으로 발급한다.

일반인을 위한 문화예술 관람 기회는 더 늘어난다. 1000원으로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천원의 행복’(세종문화회관), 공연이 필요한 곳으로 공연을 배달하는 ‘예술로 동행’(세종문화회관), 서울 곳곳에서 클래식 공연을 펼치는 ‘찾아가는 시민공연’(서울시립교향악단) 사업이 대표적이다.

최경주 시 문화본부장은 “문화소외계층을 줄이고, 심해지는 사회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모든 시민들이 장벽 없이 문화예술을 누리는 ‘문화매력도시 서울’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