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박일호의미술여행] AI 미술작품이 예술이 되려면

관련이슈 박일호의 미술 여행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3-04-28 22:52:34 수정 : 2023-04-28 22:52:3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사진이 처음 등장했을 때 화가들 반응은 싸늘했다. 사진이 기계의 산물이기에 예술이 아니라는 점에서였다. 인간이 고뇌하며 손으로 만든 회화처럼 정신의 산물이 아니라는 비난도 쏟아냈다.

그래서 사진가들은 회화를 최대한 모방하려 했고, 사진 자체의 속성을 부정하려 했다. 사진의 동시적 재현 방식을 버리고, 회화의 순차적인 제작 과정을 모방하려 했다. 사진 촬영과 인화 과정에서 순차적인 조합 효과를 시도했다. 선명한 이미지를 담아내는 사진의 속성을 버리고, 의도적으로 흐리게 만드는 방법도 택했다. 사진 이미지가 현실세계가 아닌 정신세계의 상징이라는 신비적인 효과에도 매달렸다. 이것이 이른바 20세기 초의 회화주의 사진이다.

에드워드 스타이컨, ‘빅토르 위고, 생각하는 사람과 함께 있는 로댕’(1902)

에드워드 스타이컨의 이 사진이 회화주의 사진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스타이컨이 조각가 로댕과 그의 작품 ‘빅토르 위고’와 ‘생각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회화적 효과를 시도했다. 흐릿한 이미지로 만든 ‘빅토르 위고’ 앞에 앉아 고민하는 로댕의 사진과 ‘생각하는 사람’을 찍은 사진을 합성해서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었다. 흐릿한 이미지로 신비적인 느낌을 주었고, 로댕이 다른 작품 ‘생각하는 사람’과 마주하는 것처럼 효과를 냈다.

전경 장면을 어둡게 하고 ‘빅토르 위고’가 있는 배경을 환하게 만들어 명암 대비를 통한 극적 분위기도 만들었다. 마치 빅토르 위고가 생각하는 사람을 마주한 로댕을 내려다보며 예술적 영감을 주고 있는 듯하다.

스타이컨이 고도의 사진 기법으로 만든 이 사진은 당시 평론가들의 극찬을 받았지만 사진가들의 반발도 불러 왔다. 회화를 흉내 내지 말고 사진 매체의 본성만을 활용해서 새로운 예술사진 영역을 개척하자는 시도가 뒤를 이었다. 현실 이미지를 선명하게 기록하면서 그 안에서 추상성을 연상케 하는 오늘날 예술 사진은 이렇게 나왔다.

인공지능(AI)이 만든 미술작품이 화제다. 역시를 회화를 흉내 내고 있고, 이번엔 현실의 재현과 추상성을 아우르고 있다. 하지만 AI 미술작품만의 고유한 예술적 속성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박일호 이화여대 교수·미학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오마이걸 아린 '청순&섹시'
  • 오마이걸 아린 '청순&섹시'
  • 임지연 '여신의 손하트'
  • 이주빈 '우아하게'
  • 수현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