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017년 1월 서해 공해상에서 미확인 비행물체가 포착돼 우리 군에 비상이 걸린 적이 있다. 중국 군용기 10여대가 제주도 남방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사전 통보 없이 침범해 논란을 빚은 직후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F-15K 전투기 2대가 추적에 나섰다. 확인 결과 놀이기구 등에 사용되는 ‘도라에몽’(일본 애니메이션 캐릭터) 풍선으로 드러났고 사건은 해프닝으로 종결됐다.

이런 풍선은 곧잘 폭탄을 싣고서 떠다녔다. 1849년 7월 오스트리아군이 이탈리아 베네치아를 공격할 때 처음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 풍선 폭탄을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다시 사용했다. 일본군은 전쟁이 막바지에 다다른 1944년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풍선에 매단 폭탄 9300개를 미국 캘리포니아로 띄워 보냈다. 이 중 실제로 목표지점에 도달한 것은 300개 정도였고 인명피해도 고작 6명에 그쳤다.

풍선이 국가 간 마찰을 일으킨 최근 사례는 지난해 2월 미국 상공에서 중국의 정찰용 무인풍선이 발견돼 미 공군에 의해 격추된 것을 꼽을 수 있다. 미 국방부는 미 본토 상공을 떠다니는 고고도 정찰기구를 추적하고 있다며 중국 것임을 확신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중국 측은 해당 풍선이 민간 기상관측용이며, 불가항력적으로 표류해 미국까지 날아갔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중국의 정찰풍선은 전 세계를 무대로 임무를 수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북한이 오물을 가득 담은 풍선을 남한으로 날려 보내 충격을 던졌다. 과거 남북이 선전전에 자주 풍선을 사용하긴 했어도 오물풍선은 상상할 수 없는 저열한 도발이 아닐 수 없다. 지난 일주일 새 오물풍선 약 1000개를 날려 보낸 북한은 그제 밤 국방성 부상 담화를 통해 “얼마나 기분이 더럽고 많은 공력이 소비되는지 충분한 체험을 시켰다”고 했다. 최근 남한 인권단체가 대북전단 30만장을 풍선에 담아 날려 보낸 데 대한 보복으로 추정됐다. 이에 맞서 국가안보실은 어제 남북 간 상호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 9·19 군사합의 전체의 효력을 정지하는 안건을 오늘 국무회의에 상정한다고 했다. 오물풍선 갈등이 남북 무력 충돌의 ‘트리거’(trigger)가 되지 말란 법이 없다.


박병진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츄 '깜찍한 브이'
  • 츄 '깜찍한 브이'
  • 장원영 '오늘도 예쁨'
  • 한소희 '최강 미모'
  • 수현 '여전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