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서 퇴출위기 틱톡…‘1470만’ 팔로워 트럼프가 구해줄까 [미드나잇 이슈]

관련이슈 미드나잇 이슈 , 이슈팀

입력 : 2025-01-18 20:58:00 수정 : 2025-01-18 18:28:10

인쇄 메일 url 공유 - +

美대법원, ‘틱톡 강제 매각법’ 만장일치 합헌
틱톡 “19일부터 美서 서비스 중단” 맞불
틱톡 운명, 트럼프 손에…머스크 인수설도
中, 틱톡 협상카드로 대중압박 완화 나설 듯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미국에서 강제 매각 위기에 몰렸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에서 강제 매각 위기에 몰린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19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하겠다고 경고에 나섰다.

 

다만, 오는 20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틱톡 금지 해제를 시사하면서 서비스 중단 가능성은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8일 로이터·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틱톡은 성명을 내고 “조 바이든 행정부가 틱톡 금지를 집행하지 않겠다고 보장하지 않는다면 미국 내 서비스가 19일부터 강제로 종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 연방대법원이 틱톡이 미국 내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으면 시장에서 퇴출당하도록 한 강제 매각법에 대해 만장일치로 합헌 결정을 내린 데 따른 대응이다.

 

대법원은 전날 “틱톡의 중국과의 관계가 초래할 국가 안보 위험이 틱톡 사용자 1억7000만명의 표현의 자유 제한 우려를 능가한다”고 판결했다.

 

백악관도 대법원 판결에 앞서 성명을 내고 “틱톡은 미국인들이 계속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어야 하지만, 국가안보 우려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인 또는 비중국 소유권 아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강제 매각법 시행을 차기 행정부로 넘길 뜻을 밝혔다.

 

백악관 대변인은 “(법 이행) 시점이 20일 이후라는 점에서 이 문제는 트럼프 행정부가 다룰 사안이라는 것이 바이든 대통령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3월 13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국회의사당 주변에서 소셜미디어 틱톡 애호가들이 “나도 1억7천만 틱톡 사용자 중 한 사람”이라고 적힌 플랜카드를 들고 틱톡을 지지하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있다. AP뉴시스

 

◆ 트럼프, 취임 후 ‘틱톡 살리기’ 나설 듯…머스크 인수설도

 

대법원 결정으로 틱톡의 운명은 온전히 트럼프 당선인의 손에 놓이게 됐다.

 

트럼프는 대법원 판결 이후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대법원의 판결은 예상됐던 것이며 존중돼야 한다”면서도 “틱톡에 대한 내 결정은 머지않은 미래에 내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상황을 검토할 시간이 필요하다, 지켜봐 달라”고 덧붙였다.

 

이날 대법원 판결 직전 트럼프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4년 만의 통화에서 틱톡 금지를 놓고 의견을 나눴다.

 

이에 취임 이후 법률 시행을 막거나 조정안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틱톡 팔로워 수는 1470만명에 이른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틱톡 인수설도 전해졌다.

 

미국의 유명 증권사 웨드부시 증권의 테슬라 전문 분석가 댄 아이브스는 17일 투자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머스크가 미국의 틱톡 사업부를 인수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며 “인수가가 400억달러에서 500억달러 사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 AFP연합뉴스

 

◆ 중국, 틱톡으로 트럼프 ‘대중 압박’ 완화

 

중국이 틱톡을 활용해 트럼프 당선인의 대중(對中) 압박을 완화하려 들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들을 인용해 중국 정부가 틱톡을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중 압박을 완화하는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의 대선 공약을 활용하는 전략이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해 바이든 행정부가 틱톡 금지를 결정하자 자신에게 투표하면 미국에서 계속 틱톡을 쓸 수 있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만일 미국에서 틱톡이 금지되면 틱톡을 계속 쓸 수 있게 해주겠다고 유권자들에게 약속한 트럼프가 초조해질 것이라는 점을 이용하려는 것이다.

 

중국은 관세를 비롯한 트럼프의 강경 대중 정책에 대해 협상을 하면서 틱톡을 지렛대 삼아 자국에 덜 불리한 조건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 내에서 틱톡 서비스 중단 가능성이 커지자 미국 이용자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미 민주주의와 기술 센터의 케이트 루안 소장은 “대법원의 금지 결정은 미국과 전 세계 수억명의 틱톡 사용자 표현의 자유를 억압한다”고 비판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틱톡에서 수익을 내던 인플루언서들이 대체 플랫폼을 찾거나 팔로워를 부풀리는 등의 방식으로 급히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부 크리에이터들은 트럼프 당선인에게 틱톡 금지 조치를 중단해달라고 요청하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틱톡이 사라지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고 호소했다고 WP는 전했다.


국윤진 기자 sou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영애 '상큼 발랄'
  • 이영애 '상큼 발랄'
  • 고아라 '매력적인 미소'
  • 아이브 장원영 '깜찍한 브이'
  • 아이브 안유진 '심쿵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