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품에 보편관세 부과 만지작”
차값 상승 우려엔 “신경 안 쓴다”
‘더티 15국’에 한국 포함 우려 확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2일(현지시간) 각국의 대미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책정하기로 한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참모들에게 더 공세적인 관세 정책을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미 무역 흑자국으로 지목돼 트럼프 행정부의 사정권에 든 각국도 긴장하고 있다. 한국도 그중 하나다.

워싱턴포스트(WP)는 29일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고위 참모들에게 공세적 관세 정책 입안을 주문하자 참모들은 상호관세 발표 때 부과할 수입품의 정확한 범위에 대해 숙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범위와 관련해 가장 큰 가능한 선택지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최근 언급한 ‘더티 15’다. 미국을 상대로 무역흑자를 크게 보는 15%의 무역 상대국을 의미하는 더티 15 국가 중엔 미국의 무역적자 규모 8위인 한국도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사정권에 든 각국은 긴장하고 있다. 이미 관세 타격을 입은 이웃 나라 멕시코와 캐나다는 상호관세 부과 시 보복관세를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불공정한 무역’의 대표 사례로 언급하는 유럽연합(EU)의 마로시 셰프초비치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도 25일 워싱턴을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등과 만나 협상을 벌였으나 성과 없이 돌아가면서 보복관세 등 종합적 대응 방안을 강구 중이다. 중국도 상응조치를 예고했다. 일본처럼 추가 협상 의지를 보이는 나라도 있다.
WP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보편관세 구상도 되살렸다고 전했다. 모든 품목의 수입품에 대해 일률적으로 일정한 세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관세를 통해 관세 예외의 구멍을 메울 수 있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인식이라는 것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가 지금까지도 몇 번이나 시행 예고 날짜를 어긴 데다 일관되지 않다는 지적을 받으면서 일각에선 상호관세 시행과 관련해 막판 변동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단 트럼프 대통령은 강행 의지를 밝히고 있다. 그는 이날 N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를 연기할 계획이 없다며 “그들이 엄청나게 가치 있는 것을 기꺼이 우리에게 주려 한다면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협상의 여지는 없다”고 말했다. 내달 3일부터 부과하는 자동차 25% 관세에 의한 미국 내 차 가격 상승 우려에 대해선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