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주요 가공식품 가격 상승…전체 물가 상승 견인”
3월 물가, 대학등록금 인상 등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도 원인
3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2% 넘게 상승하며 석 달 연속 2%대 상승세를 유지했다. 특히 가공식품 가격의 급등이 전체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9(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지난해 9∼12월 1%대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2%, 2월 2.0%, 3월 2.1%로 지속적으로 2%대를 기록했다.
가공식품 가격 상승폭이 특히 컸다. 가공식품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이는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 끌어올리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주요 품목별로는 △김치(15.3%) △커피(8.3%) △빵(6.3%) △햄·베이컨(6.0%)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이는 최근 출고가 인상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4월에도 가공식품 물가 상승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1일부터 주요 식품기업 8곳이 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다. 오뚜기는 라면 16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5% 올렸으며,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카레와 짜장 등 간편식 가격도 인상했다. 남양유업도 초코우유와 과일주스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200원씩 인상했다. 외식업체인 노브랜드 버거와 롯데리아도 각각 1일과 3일부터 메뉴 가격을 조정했다.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은 즉각적으로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지는 않지만, 재고 소진 후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밥상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하며 2월(-1.4%)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했다. 그러나 농축수산물 전체 가격은 0.9% 상승했으며, 특히 축산물(3.1%)과 수산물(4.9%)의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수산물 가격은 2023년 8월(6.0%)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으며, 특히 김(32.8%)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이는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량이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서비스 가격도 2.3% 상승했다. 특히 개인서비스(3.1%)와 공공서비스(1.4%)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공공서비스의 경우 대학등록금 인상의 영향으로 2월(0.8%)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통계청은 “3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은 가공식품과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이라며 “1·2월에는 석유류 가격이 영향을 미쳤고, 3월에는 대학 납입금 인상에 따른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이 추가적인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최근 영남권을 강타한 산불이 물가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3월 물가에는 반영되지 않았으나, 사과·양배추·양파·마늘과 일부 국산 소고기 가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해 “관세는 수출품에 적용되므로 국내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환율 상승 시 품목별로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물가 상승은 지속적인 가공식품 가격 인상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며 “라면, 음료 등 주요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연쇄적으로 이루어지며 전체 물가에 파급 효과를 미치고 있다. 특히 3월 물가는 대학등록금 인상 등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도 주요 요인이었다”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