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특별재난지역(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주민들에게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데 대해 “선별 지원하려면 시간이 걸려 긴급하게 지원할 수 없다”고 이유를 밝혔다.
앞서 경상남도는 산청산불로 피해를 입은 3개면 주민에게 1인당 30만원씩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자는 총 1만명이다.
이 지사는 31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이번 산불은 최악으로 불렸던 2000년 동해안 산불보다 면적은 2배, 주택 소실은 10배, 농어업 피해는 집계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많고, 심지어 바다에 정박했던 배가 19척이 불탔을 정도로 상상을 초월하는 피해를 가져왔다”고 밝혔다.
이어 “직접 불 피해가 없다고 멀쩡한 것이 아니다”라며 “산 뿐만 아니라 논밭, 하천까지 온동네가 불타버려 봄축제도 모두 취소되고 농수산업, 관광업, 외식업 등 지역경제가 사실상 멈춰버려 주민 대부분이 경제적 피해에 노출된 상황이다. 주민들은 며칠 동안 연기와 재 때문에 앞이 제대로 안 보이는 환경에서 호흡이 곤란할 정도의 신체적 피해도 당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피해자를 특정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 기준을 세우고 선별 지원하려면 시간이 걸려서 긴급하게 지급할 수도 없다”며 “따라서 이번 긴급재난지원금은 특별재난지역 5개 시·군 주민들 모두에게 지급한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가 어떤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직접 현금성 지원을 해야 하는 예외적 상황이 있다면 바로 지금과 같은 광범위한 규모의 재난에서 긴급 구제에 나설 때”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30만원이 충분한 돈은 아니지만 피해지역 주민들이 일정 기간이라도 생계를 이어가고 생필품을 구입하며 이웃끼리 서로 도울 수 있는 작은 힘이 될 것”이라며 “인명, 재산 등 직접적 피해를 입으신 분들에게는 긴급재난지원금 뿐만 아니라 법령에 따라 피해조사를 거쳐 정부에서 추가적인 보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