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재난안전기동대 계획도
입산객이 많은 청명(4일)과 한식·식목일(5일)이 있는 이번 주말을 앞두고 전국 각 지자체가 산불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치단체는 이번 주말을 산불 위험 최대 고비로 보고 행정력을 집중 투입하는 등 비상이 걸렸다. 역대 최악의 산불 피해를 겪은 영남지역 산불도 성묘객의 부주의 등으로 발생한 것으로 확인돼 산림당국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청명·한식을 맞아 세종시는 다음 달 15일까지 지역 전체 산림(2만4849㏊)에 대해 화기소지 금지구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기로 했다. 동림산과 금성산 수양산 등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지역에 대해선 입산을 제한했다.
경남 김해시는 지난달 26일부터 하루 평균 400여명의 시청 직원들이 산불감시원과 함께 산 인근 소각행위, 흡연 취사 등을 집중 단속하고 있다. 전남도는 산불방지특별대책본부의 본부장을 도지사로 격상해 운영하고 있다. 기존엔 환경산림국장(3급)이 본부장이었다.
대구시는 재난 현장 대응력 강화를 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재난안전기동대’를 만들기로 했다. 이들은 야간·대형산불 진화, 산사태 취약지 점검부터 화재·붕괴·폭발·환경오염사고 등 모든 재난현장에 출동해 초기대응을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울산시는 풍선처럼 공중 300m 높이에 띄워 운용하는 ‘산불 감시용 풍선’으로 산불 초기대응에 나서고 있다.
대형 산불을 입은 경북에선 여름철 산사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산불로 산림이 황폐화된 상황에 폭우가 내리면 산사태 발생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05년 전북 남원지역 산불 피해지를 5년 뒤 조사한 결과 나무가 타면서 토양 접합력이 약해져 토사 유출 방지기능이 130배가량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