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입양인 초상·이야기로 인간의 본질 탐구

입력 : 2025-04-22 06:00:00 수정 : 2025-04-21 16:53:04

인쇄 메일 url 공유 - +

박유아 작가 개인전 ‘즐거운 나의 집’

‘위버멘쉬’시리즈, 입양아 모습 담아
신작 ‘홈’은 환대 의미… 유대감 형성

박유아가 그린 입양인들의 얼굴은,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려는 시도다. 초상은 뼈에서 피로, 피에서 살로 옮겨가며 생기를 찾고, 저마다 다른 바탕색은 고유한 그림자가 되어 주변을 감싼다. 어느새 작가가 그린 초상은 고유한 실존을 찾기 위한 노력이자 공감으로서 빛을 발한다.

 

입양인들을 그린 초상화 ‘위버멘쉬’ 시리즈.

4년 만에 열리는 작가의 개인전이 5월24일까지 서울 중구 산림동 PS CENTER(피에스센터)에서 ‘즐거운 나의 집’이란 주제를 내걸고 관람객을 반긴다. 

 

입양인의 초상을 담은 ‘위버멘쉬’시리즈와 이 초상화를 내부 공간으로 들여온 집의 풍경 ‘홈’시리즈를 통해 환대의 의미를 이야기한다. 2020년에 처음 공개된 ‘위버멘쉬’는 입양인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속 인물들을 존중과 애정의 시선으로 한 점 한 점 담아낸 초상화 연작이다. 이방인으로 불리는 이들의 초상에서 감도는 공기는 오히려 보는 이들을 이방인으로 만들 만큼 온전하다.

 

새로 선보이는 ‘홈’시리즈는 이러한 초상화들이 실제 가정의 벽에 걸린 듯한 풍경을 묘사한다. 그림 속에 또 다른 그림이 등장하는 형식은 유쾌하면서도 사려 깊고, 바깥에서 내부로 타인을 초대하는 연출은 친밀한 관계의 지표이자 한 울타리 안에 함께 있다는 유대감을 형성한다.

 

‘홈’ 1

이전 시리즈가 타인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이었다면, ‘홈’에서는 타인과 공간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이방인이었던 관계를 허물고 대화를 시도한다.

 

전시 제목 ‘즐거운 나의 집’은 19세기 미국 가곡에서 따온 것으로, 아늑한 집과 고향을 그리는 이 노래는 타의에 의해 고향을 떠나야 했던 입양인의 삶과도 겹쳐진다. 여기서 집은 단순한 공간을 넘어, 서로의 뿌리를 마주하고 기억하는 장소이자 환대가 일어나는 정서적 공간으로 확장된다.

 

‘위버멘쉬’ 1

서울에서 출생한 박유아는 동양화를 전공하고, 1990년대 후반 미국으로 건너가 줄곧 뉴욕에서 작품활동을 펼치고 있다. 초기 수묵 중심의 서체작업에서 나아가 회화, 조각, 설치, 멀티미디어, 퍼포먼스를 아우르며 끊임없이 영역을 확장해 왔다. 2000년대 이후 정체성에 대한 탐구는 가족(‘르쌍띠망-효’, 2012), 부부와 연인(‘뮤직박스’, 2013), 타인(‘위버멘쉬’, 2020)으로 시선을 옮기며 초상을 통한 관계 안에서 자아를 캐내고 있다.


김신성 선임기자 sskim65@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