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미, 2+2 협의에서 7월8일까지 관세폐지 목적 ‘줄라이 패키지’ 마련키로…방위비 언급 없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4-25 07:58:51 수정 : 2025-04-25 08:01:35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미 양국이 상호·품목별 과세 폐지를 목표로 일명 ‘줄라이(7월) 패키지’를 마련하기로 했다. 25% 상호관세의 90일 유예 조치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합의를 이끌어내겠다는 의미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 관련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주미대사관에서 진행한 ‘한·미 2+2 통상협의’ 결과 브리핑에서 “우리측은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7월 패키지’를 마련하자는데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양측 관심사인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환율)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해 나가는 데에도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평가했다. 앞서 이날 오전 8시부터 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70분여간 2+2 협의를 진행했다.

 

최 부총리는 “보다 구체적으로 조만간 산업부와 미 USTR간 실무협의를 개최한다”며 “내달 15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하는 그리어 USTR 대표와 추가적인 고위급 협의를 가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환율정책과 관련해선 “한국 기재부와 미국 재무부 간 별도로 논의해 나가기로 양국이 합의했다”며 “조만간 실무협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상호관세와 품목관세 부과가 양국 경제협력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음을 설명하고 한국에 부과된 관세에 대한 면제와 예외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며 “특히 우리 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 설명했다”고도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의 정치일정과 통상 관련 법령, 국회와의 협력 필요성 등 앞으로 협의에 있어 다양한 고려사항이 있음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미측의 이해를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최 부총리는 또 “협의의 출발점인 오늘 ‘2+2 회의’를 통해 협의 과제를 좁히고 논의 일정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협의의 기본틀, 즉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성턴D.C. 재무부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에서 스콧 베센트 미국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2 통상협의’에 이어 그리어 USTR 대표와 별도의 면담을 갖고 “우리와의 상호관세 및 일체의 관세를 면제해줄 것을 재차 요청했다”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이어 “7월 패키지 도출을 목표로 다음 주 중으로 양국간 실무협의가 진행될 것”이라며 “차분하면서 진지한 태도로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통상과 안보 ‘패키지 딜’이 추진될 것으로 관심을 모았지만 이날 협의에서 미측은 방위비 관련 언급은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홍주형 특파원 jh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