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기교육청, 동북아 역사왜곡 맞선다

입력 : 2012-06-19 23:18:23 수정 : 2012-06-19 23:18:2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평화를 꿈꾸다’ 중·고교 배포
“간도=조선땅” 학생들에 교육
경기도교육청이 도내 중·고교에서 중국의 동북공정 등 주변국들의 역사 왜곡에 맞서 간도가 조선의 영토였다는 사실 등을 학생들에게 교육하기로 해 주목을 받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19일 “주변국들의 역사 왜곡과 관련해 학생들의 올바른 역사관을 확립하고 동북아 지역의 갈등 해소와 상호 발전 및 평화에 이바지하기 위해 동북아 평화교육 자료집 ‘동북아 평화를 꿈꾸다(사진)’를 발간, 일선 중·고교에 배포했다”고 밝혔다.

도 교육청은 도내 역사담당 교사 17명이 각종 연구자료 등을 참고해 제작한 이 책자를 중·고교 역사 수업시간이나 특별활동 시간 등에 교육보조나 참고 자료로 활용하도록 했다. 이 자료집은 중국 동북공정의 개념 및 내용, 의도, 대응 방안 등을 담고 있다.

또 고조선과 고구려, 발해 등이 우리의 역사인 이유, 조선시대 백두산 정계비와 간도 문제 등도 수록돼 있다. 도 교육청은 이 책에서 “중국의 동북공정은 단순한 역사문제가 아니라 21세기 세계 대국을 향한 중국의 거대한 국가 전략의 하나로 보아야 문제에 접근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동북공정의 목적은 한반도 통일에 대비해 재중 교포(조선족)의 독립 움직임을 차단하고, 만주 지역의 지정학적·자원학적 중요성에 따라 한반도 통일 후 영토 논쟁을 사전에 봉쇄하는 것은 물론 북한 붕괴 후 북한 영토의 영유권 주장을 위한 다각적인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일부에서 우리의 영토라고 주장하는 중국 간도 지역에 대해 “1902년 이범윤을 간도 사찰사로 파견한 조선은 1903년 간도가 조선 영토임을 분명히 밝혔다”며 “그러나 을사조약 체결 이후 일본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간도를 청에 내주었다”고 설명했다.

도 교육청 교수학습과의 한 관계자는 “중국 등에서는 거부반응을 일으킬지 모르지만 학생들이 이 자료를 통해 올바른 역사인식을 확립하고 동북아 평화에 이바지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수원=김영석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권은비 '반가운 손인사'
  • 권은비 '반가운 손인사'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