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교육청은 최근 감사와 인사, 교육과정 등 7개 부서 담당자로 가칭 '인화학교 성폭력사건 대책반'을 구성해 전방위적인 감사와 점검에 나섰다.
시 교육청은 이날 감사반원 8명을 투입, 대대적인 감사에 착수했다.
시 교육청은 감사를 통해 문제점이 나오면, 이 학교에 대한 위탁교육 기관을 취소할 방침이다.
![]() |
영화 '도가니' 포스터. |
시교육청은 2013년 3월 개교 예정인 공립특수학교(선우학교)에 청각장애 학생을 수용할 계획이지만, 개교 전까지 수용할 시설이 없어 고민이다.
무엇보다, 당장 학교를 폐쇄하면 현재 인화학교에 다니는 초중고생 22명의 청각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권을 보호할 수 없어 뚜렷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광주시와 시의회, 시교육청, 광산구는 28일 오후 광주시청에서 각 기관의 실무팀장급 회의를 하고 대책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기관별로 마련할 수 있는 대책을 개별적으로 수립하고, 인화학교 문제 수습을 위해 상호 협조하기로 했다.
관할 구청인 광산구청도 최근 학교법인에 전문성 없는 이사진을 교체하라고 요청했으며, 학교법인도 조만간 이사회를 열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이와함께 피해 학생과 현재 인화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보호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인화학교성폭력대책위원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피해자들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밀착 취재 등은 부담스러움을 넘어 또 다른 폭력이 될 수 있다"며 "피해 학생과 가족들의 아픈 기억이 되살려지고 있음에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인화학교를 바라보는 사회적인 관심과 분노를 고려하면 빠른 시일 내에 폐쇄 조치하는 것도 검토했지만, 학생들을 생각하면 쉽지 않은 문제"라며 "감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추이를 지켜보며 조속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