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0월 방북한 엘베그도르지 몽골 대통령, 평양서 "어떤 폭정도 영원할 수 없다"

입력 : 2013-11-15 20:01:38 수정 : 2013-11-15 23:26:3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김일성大서 자유·인권 연설
“인민은 자유로운 삶을 열망… 몽골, 비핵화·사형 폐지 지지”
北 세습 체제 비판 내용 주목
“어떤 폭정도 영원히 지속될 수 없다.”(No tyranny lasts for ever.)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 몽골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자유와 인권, 법치주의 등의 가치를 역설하는 연설을 하면서 독재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을 포함시킨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탈사회주의의 길을 걷고 있는 몽골의 체제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나온 언급이지만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정점으로 한 북한의 시대착오적인 ‘3대 세습’ 체제를 겨냥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어 주목된다.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 몽골 대통령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은 연설에서 “몽골은 인권과 자유를 존중하고 법치주의를 지지하며 개방정책을 추구한다”며 “자유는 모든 개인이 자신의 발전 기회를 발견하고 실현하게 하며 이는 인간사회를 진보와 번영으로 이끈다”고 강조했다. 또 “인민은 자유로운 삶을 열망하며 이는 영원한 힘”이라며 “어떤 폭정도 영원히 지속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자유의 힘을 믿는다”면서 “이러한 기조 덕분에 몽골은 1990년에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정치와 경제 개혁을 단행해 국내총생산(GDP)의 10% 미만이던 민간 부문의 지분을 20여년이 지난 현재 80% 이상으로 끌어올렸다”고 소개했다.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은 “자유로운 사회는 하나의 목표라기보다는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이자 살길”이라고도 했다.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은 “몽골은 인간의 생명권을 존중한다”며 “2009년 6월 사형제도를 철폐했으며 사형제도의 완전한 폐지를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어 “몽골은 21년 전 스스로 비핵지대임을 선포했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은 몽골의 이 같은 지위를 문서로 확정했다”며 “몽골은 안보를 (핵무기가 아닌) 정치적, 외교적, 경제적 수단으로 보장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공포정치를 펴며 핵 개발에 매진하는 북한 정권에 충고를 하는 듯한 어투였다. 몽골은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의 연설문을 대통령실 웹사이트에 공개했다. 김일성종합대 학생들과 교수들은 아무런 질문을 하지는 않았지만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이 연설장을 떠날 때까지 박수를 보냈다고 몽골 대통령실은 밝혔다.

이번 연설은 북한의 제안에 따라 이뤄졌으며 북한은 엘베그도르지 대통령에게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단어만 사용하지 말아달라는 부탁을 했다고 몽골 대통령실은 밝혔다.

김민서 기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권은비 '반가운 손인사'
  • 권은비 '반가운 손인사'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