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수도권 전셋값 상승률 14년만에 최고치…'리터루족' 늘어난다

입력 : 2016-02-18 14:33:41 수정 : 2016-02-18 14:33:41

인쇄 메일 url 공유 - +

#. 직장인 김모(32)씨는 회사 출퇴근 문제 때문에 얼마 전 서울의 한 작은 빌라에 월세를 얻어 살고 있다. 출퇴근은 훨씬 수월해졌지만, 문제는 매달 50만원씩 월세를 내야 한다는 점이다. 김씨는 "연봉도 얼마 안되는데, 매달 월세에 관리비 등을 지출하고 나면 남는 게 별로 없다"며 "부모님과 같이 살았던 시절이 그립다"고 말했다.

최근 수도권 전세난에 리터루족이 증가하면서 중대형 아파트가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치솟는 전셋값 등을 감당할 수 없는 자녀들과 넓은 집을 가지고 있는 부모 세대들이 같이 살게 되면서 더 넓은 면적의 집이 필요하기 때문.

정부도 올해부터 부모와 같이 사는 성인 자녀의 주택상속공제율을 2배 가량 늘리기로 해 중대형 아파트에 다시 시선이 쏠리고 있다.

'리터루족'이란 리턴과 캥거루(Return+Kangaroo)의 줄임말로 결혼을 위해 독립했던 자녀들이 부모에게 돌아오는 현상을 일컫는 사회용어다. 최근 정기적인 월급에 대출까지 받아 독립을 했지만, 높아진 전셋값 때문에 주거비를 감당할 수 없게 되자 부모의 집에서 같이 살겠다는 젊은 부부들이 늘어나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최근 수도권 전셋값 상승세가 여전히 매섭다.

18일 부동산 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수도권의 경우 3.3㎡당 전세 평균 가격은 896만원으로, 2000년 이래 최고점을 기록하고 있다. 통상적인 전세계약 기간인 2년 전(2014년 1월)과 비교하면 24.79%(718만→896만원) 오른 수치다. 이는 2000년 조사 이후 2년간 상승률로 봤을 때 2002년 34.85%(264만→356만원)의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14년만에 최고치다.

이러한 전셋값 상승 등으로 리터루족이 늘어나자, 수도권의 5인 이상 가구 감소추세는 갈수록 둔화되고 있다.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당시 수도권 5인 이상 가구가 시간이 지날수록 빠르게 줄어들 것이라는 당초 예상과 사뭇 다르다.

당초 통계청에서는 2010년도 8.47%에 달하는 5인 이상 가구가 2015년에는 6.60% 수준까지 감소하고, 연간 0.3%~0.4%P의 높은 감소폭을 보일 것이라고 잠정 추계했다.

통계청에서는 2013년 대비 2015년 수도권 5인 이상 가구 비율은 -6.75%, 4만2654가구(63만2130가구→58만9476가구) 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추계했지만, 행정자치부의 주민등록인구통계를 보면 같은 기간 5인 이상 가구의 실제 감소폭은 -2.57%다. 1만7949가구(69만8990가구→68만1041가구)로 당초 예상의 절반 수준에도 못미쳤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중대형 아파트의 거래량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감정원이 조사한 아파트 거래량을 분석해 보면 전용 85㎡를 초과하는 거래량은 △2012년 5만6998건 △2013년 6만4130건 △2014년 7만9333건 △2015년 9만5972건으로 3년 연속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정부에서도 올해부터 주택 상속 공제를 강화하는 등의 정책을 내놓고 있는 만큼 이러한 리터루족이 늘어날 수 있어 중대형 아파트의 전망을 더욱 밝히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올해부터 부모와 10년 이상 동거한 무주택 자녀가 부모로부터 집을 상속받을 때 공제율을 기존 40%에서 2배 오른 80%로 상향 조정하고, 최대 5억원까지 공제하기로 했다. 보다 합리적인 소비를 원하는 주택 수요자들을 중심으로 중대형 아파트를 구입하는 사례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강태욱 우리은행 부동산 자문위원은 "자녀를 독립시킨 뒤 중대형을 팔고 중소형으로 옮겨가는 것과 더불어 다시 부모와 함께 살면서 주거비를 줄이는 합가 세대들이 주거 트렌드로 떠오를 수 있다"며 "중대형 아파트의 실제 수요가 늘어나는 반면, 공급이 감소해 희소가치가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GS건설이 3월 경기도 화성시 동탄2신도시 A8블록에서 분양하는 ‘동탄파크자이’ 등이 이에 해당된다"고 말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있지 리아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