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의원은 이날 오후 대구시당을 찾아 27일 전 함께 탈당한 도재준, 윤석준 시의원 등 지지자 256명과 함께 입당원서를 제출했다. 유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복당하게 되면 무너진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지도부의 복당 허용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당이 알아서 할 것”이라면서도 “민심의 분노가 임계치를 넘어섰고, 당의 진정성 있는 변화는 민심을 정확하게 알아내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며 당 혁신을 강조했다.
총선 후 무소속 당선자의 복당 신청은 윤 의원과 안상수 의원에 이어 유 의원이 세 번째다. 대구 수성을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주호영 의원은 당 지도부의 ‘선 사과, 후 복당’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유 의원과 함께 무소속 연대로 출마했다가 낙선한 조해진 의원은 이날 오후 경남도당에 입당원서를 제출했다.
![]() |
입당 원서 제출 공천파동으로 새누리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당선된 유승민 의원(대구 동을)이 19일 오후 새누리당 대구시당을 방문해 입당 원서를 제출하고 있다. 대구=연합뉴스 |
비대위가 구성되더라도 유 의원과 윤 의원의 복당을 놓고 양대 계파가 부딪치고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비박(비박근혜)계는 선별 복당론을 주장하고 있다. 선거에 드러난 민심을 감안한다면 막말 파문을 일으킨 윤 의원은 반성과 자성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것이다.
친박계는 유승민 복당 불가론을 내세우고 있다. 일각에서는 윤 의원의 복당 문제가 걸려 있는 만큼 유 의원과 함께 허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정현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서 “언젠가 받아들일 것은 퍼뜩 받아들이지, 무엇 때문에 시간을 끌어서 그것으로 소모전을 펼치느냐”며 무소속 복당을 둘러싼 당내 찬반 논란을 비판했다.
김달중 기자 da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