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2016회계연도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미세먼지 발생의 30∼50%는 국외에서 유입된 것이다. 미세먼지 고농도시에는 그 비중이 60∼80%까지 올라간다.
그러나 한·중 공동 미세먼지 저감대책 사업은 100억원으로, 미세먼지 관리 예산의 2.4%에 불과하다. 공동 저감대책 사업이란 중국 내 가동 또는 건설 중인 제련소 등에 한국기술을 적용한 집진설비를 설치하고, 그 성능을 실증하는 양국 협력사업을 말한다.
하지만 이 마저 2015년에는 프로젝트 계약실적이 전무하고, 지난해에는 5건에 불과했다. 이로 인해 2015년 사업비 대부분이 이듬해로 이월됐고, 지난해에는 이월된 금액만 집행되고 지난해 예산은 올해로 이월됐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사업이 부진한 이유로 한국과 중국이 각각 2 대 8의 비율로 자금을 투입하는 구조를 지적했다. 보고서는 “중국 측이 80%의 자금을 투입하는 관계로 사업 추진 여부가 중국 정부와 기업의 의지와 협조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며 “따라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공동노력의 필요성을 우선적으로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 |
제19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가 진행 중인 25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라마다 프라자 수원 호텔에서 열린 3국 환경정책발표회에서 김은경 환경부 장관이 한국의 환경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
한편, 25일 수원에서 막을 내린 제19차 한·중·일 환경장관 회의에서 3국 장관은 그동안 진행해온 3국 대기질 공동연구보고서를 공개하기로 합의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