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곳 제어시스템 없어 수동운전만
8곳은 전문기관 점검 전혀 안받아
올여름 서울 폭우 피해가 ‘인재’가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 가운데 부산도 예외는 아님을 시사하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산시는 4월 25일부터 5월 31일까지 실시한 배수펌프장 가동 준비사항에 대한 안전감찰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부산에는 저지대인 사상구를 비롯해 사하구와 강서구 등 10개 구·군에 총 63개의 배수펌프장이 설치돼 있다. 이 중 사상구와 사하구, 강서구, 남구 지역 배수펌프장 36곳을 대상으로 집중호우에 따른 신속대응 운영 매뉴얼 등 비상연락체계와 펌프·제진기·스크린·전기시설의 정상 가동 여부 등을 점검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16곳에서 문제점이 발견됐다.
안전감찰 결과, 감시제어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사상구의 배수펌프장 3곳은 현장 근무자가 제어반을 통한 수동운전만 가능해 펌프와 수문 등의 운영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고, 근무자가 자리를 비웠을 경우 대처가 불가능해 감시제어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배수펌프장은 집중호우 발생 시 정상 가동을 위해 기계·전기 등 분야별 전문 인력과 장비를 갖춘 안전진단 전문기관의 안전관리가 필요한데도, 부산지역 8개 배수펌프장(강서구 5곳·남구 2곳·사하구 1곳)은 자체 점검만 하고 전문기관의 점검을 전혀 받지 않았다.
국토부가 2014년 마련한 배수펌프장 시설 안전에 대한 시행령 개정안에 따르면 정기안전점검은 반기마다, 정밀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은 각각 3년과 6년마다 1차례씩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시는 또 소하천이나 해안으로 빗물을 방류하는 배수펌프장 11곳(강서구 5곳, 남구·사하구 각 3곳)의 경우 국가 및 지방하천으로 방류하는 배수펌프장과 방류구의 위치만 다를 뿐 시설의 형태와 기능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안전 점검 의무가 규정되지 않아 점검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을 적발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