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황 부진으로 채소류 10%대 고공행진
한은 “환율 영향 제한적… 당분간 2% 근접”
석유류가 큰폭으로 떨어진 덕분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달 연속 1%대를 기록하며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다만 채소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40(2020년=100)로 1년 전보다 1.5% 올랐다. 앞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부터 다섯달 연속 2%대에 머물다 9월부터 1%대로 내려왔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농·축·수산물 물가는 1.0% 올라 전체 물가를 0.08%포인트 끌어올렸다. 특히 채소류가 10.4% 뛰어 석달 연속 10%대 상승을 보였다. 다만 기상여건 개선, 출하량 확대 등으로 상승폭은 10월(15.6%)보다 둔화했다. 품목별로는 무(62.5%), 호박(42.9%), 오이(27.6%) 등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여름철 고온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채소 가격이 올랐던 영향이 여전히 남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석유류는 5.3% 내리면서 전체 물가를 0.22%포인트 끌어내렸다.
‘밥상 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지수는 0.4% 상승해 2022년 3월(-2.1%) 이후 32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1.6%로, 석달째 1%대를 기록했다.
황경임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인플레이션이 누적돼 물가 수준이 올라갔기 때문에 체감물가는 아직 높을 것”이라며 “고물가 추세가 둔화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은 이날 물가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2%에 근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웅 부총재보는 “최근 환율이 상승했지만, 파급 시차 등을 고려할 때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며 12월 이후 나타날 것”이라며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저효과와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당분간 2%에 근접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물가 전망 경로는 환율·유가 추이, 내수 흐름, 공공요금 조정 등에 영향받을 것”이라며 “연말·연초 기업의 가격 조정 파급효과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는 전일보다 1.6원 오른 1402.9원을 기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