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 달라진 미디어 환경…‘계엄 통제’의 한계도
전문가 “계엄 해제의 배경, 투명한 정보 공유”
“2시간짜리 서울의 겨울”
“가장 걱정이 군대 가있는 아들들과 그 아들의 부모님들”
“교과서에서나 보던 계엄령이라니”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3일 밤부터 국회가 계엄 해제 요구안을 가결한 다음날 새벽까지, 계엄 상황은 약 2시간 30분 만에 소셜미디어 서비스(SNS)를 통해 전국으로 실시간 전파됐다. 과거와는 완전히 다른 양상의 계엄 상황이 전개된 것이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시민들은 스마트폰을 들고 국회로 몰려들었다. 국회 진입이 통제되는 상황, 군 헬기가 국회에 접근하는 모습, 완전무장한 계엄군이 국회에 진입하는 장면 등이 시민들에 의해 촬영되어 삽시간에 단체 카카오톡방과 SNS를 통해 퍼졌다.
국회 내부 상황 또한 여과 없이 공개됐다. 일부 정치인들이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통해 내부 상황을 생중계했기 때문이다. 국민들은 실시간으로 계엄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며 상황을 공유하고 토론했다.
과거 계엄사령부는 언론사를 통제하고 윤전기 가동을 멈추는 방식으로 보도를 차단했다. 그러나 이번 계엄사령부의 포고령 1호에 포함된 “모든 언론과 출판은 계엄사의 통제를 받는다”는 조항은 실효성을 잃었다.
전문가들은 변화한 미디어 환경 속에서 기존 방식의 언론 통제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계엄 상황은 SNS와 유튜브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국민들에게 전달되며 계엄 통제의 효과를 상실했다.
특히, 다수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해외에서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계엄령으로는 이러한 채널을 차단하거나 통제할 방법이 없다는 점도 한계를 드러냈다.
전 국민이 계엄의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지켜본 점이 계엄 해제를 큰 충돌 없이 이뤄지게 한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국민들은 ‘계엄 소동’이라 불릴 만큼 빠르게 전개된 상황을 SNS와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했고, 이는 계엄 해제 요구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한편 언론 단체들은 긴급 공동성명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대국민 전쟁 선언”으로 규정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온 국민이 피로 쓴 민주주의와 언론 자유의 반세기 성취를 부정한 반민주, 반역사, 반자유의 폭거”로 규정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대통령이 밝힌 계엄 선포의 배경은 헌법이 규정한 계엄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이를 명백한 헌법 위반이자 헌정 질서 파괴 행위라고 지적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