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는 깊이와 느낌은 다를지라도 모두 사진작가가 되고 여행작가가 될 수 있다. 제주가 간직하고 선보이는 대상이 이를 가능하게 한다. 제주에서는 돌로 가려진 무덤에서도 절망보다는 삶의 희망이 담금질 된다. 제주는 삶에 지치고 찌들은 인간을 위무하는 영혼의 쉼터여서다. 바라만 봐도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있는 안식처다.

숲터널은 서귀포에서 제주를 잇는 1131번 도로(일명 5·16도로)에 있다. 5·16 이후 군사정부와 관련된 안타까운 역사와 달리, 역설적이게도 이곳의 숲터널은 제주가 꼽는 명소가 됐다. 자동차가 수악계곡 근처에 이르자 울창한 상록수와 활엽수의 밀림이 반긴다. 10m는 족히 넘는 나무들 덕분에 도로마저 녹음으로 물이 든 듯싶다. 울창한 나무들의 영향으로 흐른 날에는 주변이 어두워진다. 숲터널이 선보인 초여름의 녹음은 봄의 초록빛을 가을의 단풍과 겨울의 설경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굵은 빗줄기라도 내리면 이곳은 아름다운 수채화로 모습을 달리할 것이다.
숲터널 주변은 굽은 도로여서 여러모로 자동차가 속도를 내기 힘들다. 아마 속도를 내고 싶지도 않을 것이다.
![]() |
◇제주의 중간산 삼림의 특징을 간직한 사려니 숲길. 앉아있기만 해도 온몸이 깨어나는 듯 하다. |
숲터널을 지나서 절물휴양림을 둘러본 뒤, 도착한 곳이 사려니숲길이다. 5·16도로에서 가까운 사려니숲길은 난대림이 우거진 지역이다. 한라산 남동쪽 기슭 사려니오름에서 이런 이름을 갖게 된 숲길이다. 해발 400∼700m 사이에 있는 난대림은 제주에서가 아니면 볼 수 없다. 그렇다고 어느 지역으로 들어가서나 마음대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한남읍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은 탐방이 금지돼 있다. 다행히 6월 중순부터 일정 보름 동안에는 모든 구간에 걸쳐 탐방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곳의 자랑은 역시 나무와 식물들이다. 삼나무만 하더라도 높이가 30m에 이르는 나무가 숱하다.
숲길 곳곳에 설치된 테마 포인트도 눈길을 끈다. 참꽃 나무숲, 치유와 명상의 숲, 서어나무숲 등의 테마포인트를 그냥 지나칠 여행자는 많을 것 같지 않다.
제주·서귀포=글·사진 박종현 기자 bali@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