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는 15일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29일과 30일에 비정규직 철폐와 근속수당 인상 등을 요구하는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학교비정규직노조에는 급식 조리원과 교무 보조원, 돌봄 전담사, 특수교육보조원 등 학교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노동자 약 38만명 중 5만여명이 가입돼 있다.
![]() |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이 일부 지역에서 파업을 벌인 지난해 4월1일 경기 수원시의 한 중학교에서 학생들이 점심시간에 급식을 대체할 빵과 삼각김밥, 우유 등을 지급받고 있다. 수원=연합뉴스 |
이들은 “학교 비정규직은 비정규직 문제의 ‘종합 백화점’ 격”이며 “근속이 쌓일수록 정규직과 임금 격차가 심화하며 고용 환경이 불안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비정규직들에게) 근무 2년차부터 근속수당을 지급하고 매년 5만원씩 인상해야 한다”며 처우 개선을 촉구했다.
학교비정규직노조는 또 “무기계약직은 정규직이 아닌 무기한 비정규직”이라며 “정부의 공공기관 비정규직 제로 정책에 무기계약직까지 포함해 비정규직을 완전히 철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지난달 22일부터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에 대한 찬반투표를 진행 중이며, 오는 21일 투표 결과와 함께 총파업 투쟁 계획 등을 공개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학교비정규직노조와 협상에 나섰지만 아직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중인 사안이라 대외적으로 이야기하기 어렵다”며 “파업까지는 가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서울·제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조리사, 영양사를 비롯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이틀간 파업을 벌이면서 200여개 공립 초·중·고교가 급식에 차질을 빚었다.
당시 서울에서는 급식이 중단된 학교의 절반 가량인 50여곳에 빵과 우유로 점심 급식을 대체했다. 나머지 절반은 사전에 도시락을 싸오라고 공지하거나 아예 수업을 단축했다.
2014년에는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정규직과의 차별 해소를 요구하며 파업에 들어가 전국 900여개 학교가 급식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이 중 410여곳은 빵과 우유 등으로 점심을 대체했고, 320여곳은 학생들에게 도시락을 싸오도록 했다. 50여곳은 단축수업을 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