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배우기에 나선 공무원들
지난 2일 오후 6시30분 인천 남동구 인천경찰청 체육관에 경찰관 10여명이 모였다. 지난해 10월 결성된 드론 동호회 ‘플라인폴’ 멤버들이다. 멤버들은 저마다 크기가 제각각인 드론을 한 대씩 들고 있었다. 이들은 서로 도와주면서 여러 드론 기술을 익혔다. 드론자격증을 따기 위한 연습이다.
경찰청이 도입 예정인 실종자 수색용 드론 ‘K-블루아이폴리스’. 열감지 카메라와 자율비행 GPS(위치정보서비스), 자율탐지 등 수색에 필요한 기능을 갖췄다. 경찰청 제공 |
경찰 드론 동호회 플라인폴 회원들이 지난 2일 인천 남동구 인천경찰청 체육관에서 드론 조종 연습을 하고 있다. 인천경찰청 제공 |
음 경위는 중앙경찰학교에서 ‘드론을 활용하는 경찰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도 자주 한다. 취지에 공감한 경찰이 하나둘씩 모이면서 동호회원은 82명까지 늘었다. 그는 “순찰, 수색, 테러위협대비, 교통관리 등 드론을 가장 많이 써야 할 기관은 경찰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는 지구대 순찰차에 드론을 하나씩 넣고 다니는 시대가 분명히 올 것”이라고 자신했다.
드론은 경찰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다. 환경부는 지난달 11일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을 단속하기 위해 드론을 띄웠다. 오염 측정기를 장착한 드론은 85개 업체를 돌며 고농도 오염물질 배출이 의심되는 업체 6곳을 추려냈다. 우체국은 드론을 이용한 택배서비스를 시범운영해 외딴섬에 물품을 전달하는 시범사업을 하고 있다. 법무부와 관세청도 경비·단속을 위해 드론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2021년까지 드론 3700여대의 공공수요를 발굴해 지원할 계획이다. 농업, 경찰, 소방, 해경, 산업, 산림, 해양 등 분야에 2230여대, 지자체에 약 660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드론을 사업에 활용하는 청년들의 도전도 활발하다. 서울 강동구에는 드론 관련 청년 스타트업 임대주택인 ‘드론마을’이 형성됐다. 광나루 한강드론공원과 가깝다. 이곳에서 청년 11명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드론을 활용한 미래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메리킹’의 강륜아(28) 대표는 코딩과 드론을 연계한 교육사업에 뛰어들었다. 올해부터 코딩이 중학교 정규 수업에 포함된 추세에 맞춰 드론과 코딩교육을 융합해보자는 것이다. 아이들이 드론을 조종해 보고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면서 코딩 경험을 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강 대표는 “드론을 조종해 본 아이들한테서는 성범죄 예방 드론, 불빛이 나는 응원용 드론, 모내기 드론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온다”며 “드론이 4차 산업의 핵심이라고 볼 때 드론 교육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메리킹은 지난해 100건의 강의를 진행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미스코’ 고우리(30) 대표는 심리치료와 드론을 융합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고 대표는 “사람들이 넓은 하늘로 드론을 날릴 때 스트레스도 함께 사라진다”며 “노인, 아동 등 사회복지 분야에도 드론을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드론의 미래가 드론을 활용하는 아이디어에 달려 있다고 강조한다. 세계 사업용 드론(공공·상업용) 활용시장은 2016년 1조58억원 규모에서 연평균 51.1%씩 성장해 2026년 62조5215억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
한국드론산업협회 윤광식 사무처장은 “미국이 군사용 드론시장에서 앞서 가고 중국은 상업용으로 경쟁력을 갖춰가는 상황”이라며 “우리는 산업용 드론의 잠재력을 어떻게 끌어올릴지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드론 산업이 걸음마 단계이고 뛰어든 업체도 적어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강왕구 단장도 “미래에는 드론을 활용한 응용시장이 중요하다”며 “특히 국가별 경쟁이 치열한 측량, 토목 분야의 디지털 매핑(기존의 지도를 디지털화하는 기술)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대학이 드론 인재 육성을 위해 앞다퉈 관련 학과나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전문대는 대경대를 시작으로 동강대, 강원도립대 등 7개대가 드론학과를 만들었다. 4년제 대학에서도 배재대와 초당대, 가톨릭관동대 등 9개대가 드론 관련 학과를 개설했다.
4일 대학가에 따르면 현재 대학의 드론 전공학과들은 이론과 응용, 조종, 관리정비, 설계제작 등을 기초로 방재와 소프트웨어 등 분야별 특성화에 나서고 있다.
대경대는 경남 밀양시·대구경찰청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방재와 실종자 수색 분야 교육을 강화했다. 동강대는 드론 소프트웨어를 특화해 각 산업에 적합한 제어시스템 개발을 집중교육하고 있다.
드론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문대 드론 전공 충원율은 2017학년도 70.1%에서 2018학년도 93.1%로 23%포인트 껑충 뛰었다.
드론 관련 학과 학생들은 다양한 꿈에 도전하고 있다. 수성대 드론학과 1학년 한동록(18)씨는 지난달 14일 드론 레이싱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입상해 오는 11월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세계대회에 한국 대표로 출전한다. 그는 “취미가 전공으로, 또 레이싱으로 이어졌다”며 “드론은 응용할 수 있는 분야가 많은데, 대학을 다니며 내게 맞는 분야를 찾고 싶다”고 말했다.
각 대학에서는 드론을 전문분야와 연계해 활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지적토목전공은 드론을 활용한 측량교육을, 영상과에서는 드론촬영을, 기계공학과에서는 드론 개발을 다루는 등 다양한 융합을 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드론 관련 수요가 폭발적으로 느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인 교육지원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한국인지과학협회 권희춘 사무총장은 “군사는 물론 경찰, 보건, 건축 등 대부분 분야에서 드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지만 아직 소프트웨어 등 관련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세계와 경쟁하는 드론 산업을 이끌기 위해 정부가 관련 인재 육성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경대 박근배 교수(드론과)도 “드론에 관심 있는 업체들은 분야에 따라 학교에 다양한 요구를 하는데, 교육은 기본적인 과목에 집중하고 있다”며 “분화·전문화한 드론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승진 기자 prod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