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북한도 재생에너지 관심 많아… 파리협정 등 국제협약 이행 원해"

입력 : 2018-09-02 18:50:08 수정 : 2018-09-02 23:41:4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솔하임 유엔환경계획 사무총장 / 지난달 방북 기후변화대응 논의 / “北, 평가보고서 발간에 긍정적 / 안보리에 환경평가 요청할 것”
“북한도 파리협정이나 몬트리올의정서 같은 국제 환경협약에 따라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마련하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대북제재로 고립되면서 이행 수단도, 기술도, 국제교류도 없다는 게 문제죠. 한반도 평화체제가 정착하는 데 환경이 중요한 역할을 하길 기대합니다.”

2일 이른 아침 서울 중구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에릭 솔하임(사진)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을 만났다. UNEP는 유엔의 환경 이슈를 조율하는 대표적인 기구다.

그는 수차례 우리나라를 찾았지만, 언론 인터뷰는 이번이 처음이다. 앞선 방문이 우리 정부와 UNEP 간 환경협력이 화두였다면, 이번에는 대북 환경협력이라는 무거운 주제가 얹혀졌다.

그는 지난달 22일 3박4일 일정으로 북한에 다녀왔다. 북한이 먼저 요청해 이뤄진 방문이었다.

“잘 아시다시피 북한의 산림 파괴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북한은 춥기 때문에 산림복구가 굉장히 어려운 일(big challenge)이겠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북한보다 훨씬 추운 몽골에서 대규모로 나무를 심고 있는 중국의 사례를 북한에도 적용할 수 있을지 궁금해했습니다.”

솔하임 사무총장은 “평양 중앙양묘장과 황해 연산군, 강원 원산시의 비슷한 시설을 둘러봤다”며 “그러나 태풍(솔릭)으로 홍수가 나는 바람에 제대로 둘러보지는 못했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이 산림 외에도 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환경이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며 “특히 파리협정이나 몬트리올의정서 등을 이행할 방법을 찾고 있다”고 강조했다.

파리협정과 몬트리올의정서는 각각 지구온난화와 오존층 파괴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체결한 협약이다. 당장 ‘먹고 사는 문제’가 급한 북한이 지구의 미래를 고민하는 이유가 궁금했다.

솔하임 사무총장은 “북한 역시 화석연료에 기댄 발전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걸 잘 알고 있는 데다 재생에너지 비용이 많이 내려간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전했다. 북한은 UNEP의 ‘깨끗한 바다 캠페인’(Clean Seas Campaign)에도 동참하기로 했다.

국내 환경전문가들은 이런 활동을 통해 북한이 ‘정상국가’ 이미지를 부각하고, 국제사회 지원을 이끌어내려는 의도가 있을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와 국제사회로서도 환경은 북한에 다가가는 데 부담이 덜한 주제이기도 하다.

솔하임 사무총장은 “북한 관계자들은 2013년부터 중단된 UNEP의 대북환경사업이 다시 시작되길 바라고 있다”며 “한국의 환경부 장관에도 이런 뜻을 전달해 평화협정과 관련해 환경부와 UNEP가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해볼 것”이라고 전했다. 솔하임 사무총장은 UNEP의 북한 환경평가가 재개될 수 있도록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에 환경평가보고서 문제를 상정할 계획이다. UNEP는 2004년과 2012년 두 차례에 걸쳐 북한 환경평가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그는 “지난 방북 때 북한 환경평가보고서 발간을 위한 조사를 제안했고, 북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만 대북제재라는 걸림돌이 있어 조사단 파견이나 연구비 지출이 힘든 상황”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