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구멍 뚫린 검역망… 3년 전 메르스 사태 안 되도록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8-09-10 00:31:22 수정 : 2018-09-10 00:31:2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환자가 3년 만에 국내에서 발생했다. 질병관리본부는 그제 쿠웨이트에서 귀국한 A(61)씨가 서울대병원에서 메르스 환자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질본은 A씨를 진료한 의료진 등 밀접 접촉자 22명을 격리조치하고,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했다. 메르스 잠복기는 2∼14일이기 때문에 확산 여부는 최장 2주쯤 후에 판가름이 난다. 국민들은 2015년 메르스 공포가 재연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문제는 이번에도 초동 검역체계에 구멍이 뚫렸다는 점이다. A씨는 공항 검역단계에서 아무런 의심을 받지 않고 입국장을 통과한 뒤 4시간 만에 의심환자로 분류됐다고 한다. 더구나 A씨는 검역관에게 “쿠웨이트 방문기간 중 설사 증상이 있어 현지 의료기관을 방문했다”고 신고했음에도 보건 당국이 면밀하게 확인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A씨를 놓치면서 밀접 접촉자 범위가 검역관, 출입국심사관, 항공기 승무원, 탑승객에서 의료진, 가족, 택시기사 등으로 늘어난 셈이다. 만약 환자 스스로 삼성서울병원을 찾지 않았다면 더 큰 사태가 벌어졌을 것임이 분명하다.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3년 전 메르스 사태도 당국이 초동조치에 실패한 탓이 크다. 당시 5월에 처음 확진 환자가 발생한 이후에도 정부는 컨트롤타워조차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는 등 우물쭈물하다 골든타임을 놓쳐 사태가 악화됐다. 그 바람에 7개월 동안 186명의 확진 환자가 발생해 38명이 목숨을 잃었다. 당시 메르스 공포는 인구 이동까지 위축시켜 우리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줬다. 중국 등 해외 관광객의 입국 기피로 관광산업도 큰 피해를 봤다. 메르스 사태가 경제성장률을 0.3%포인트 끌어내렸다는 분석이 나올 정도였다.

정부는 어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긴급 관계 장관회의’를 열었다. 질본은 부내에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설치했다. 전국 17개 시도는 지역 방역대책반을 가동한다. 정부는 접촉자 격리에 만전을 기하고, 추가 접촉자 조사 등 초기 대응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 설혹 과잉 대응 소리를 듣더라도 늑장 대응보다는 낫다. 더구나 민족이 대이동하는 추석이 보름 앞으로 다가온 만큼 2차 확산이 되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총력 대응해야 한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막지 못하는 우를 또다시 범해선 안 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권은비 '반가운 손인사'
  • 권은비 '반가운 손인사'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