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공공·예술성 가치 충돌… 지휘자 중재 역할 중요”

입력 : 2020-11-29 22:00:00 수정 : 2020-11-29 22:06:3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김윤경 한국문화관광硏 박사후연구원
“예술단체들 일반 공공조직과 달라
감시·규제 자칫 구성원 갈등 초래”

“시·도립 오케스트라 시스템 내부에 불신이 자꾸 만들어지는 이유는 예술단체로서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그냥 일반 공공조직으로 보는 측면이 강해서입니다. 공공성과 예술성을 같이 추구해야 하는데, ‘너희는 세금을 쓴다’면서 감시하고 규제하다 보니 예술성과 공공성이란 가치가 지자체·단원·지휘자 사이에서 엄청나게 충돌하는 거예요.”

김윤경(사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박사후연구원은 우리나라 시·도립 오케스트라 내부를 학술적으로 분석하는 흔치 않은 작업을 해냈다. 서울예고 출신으로 이화여대에서 작곡 전공으로 학사 및 석사까지 마친 경력 덕분이다. 이후 다시 미국 뉴욕대에선 작곡으로, 영국 킹스컬리지런던에선 예술정책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다시 연세대 행정학 박사가 됐다. 공연기획사, 음악제에서도 일한 다채로운 경력 소유자다. 김 연구원은 “전국을 돌아다니며 오케스트라 관계자들을 만났다”며 “기대 이상으로 제 연구에 호의적이었고 민감한 질문에도 자세히 답을 해줬는데 국내 오케스트라 문화가 바뀌길 원하는 마음이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지자체와 악단 행정부서, 그리고 단원·지휘자가 충돌하는 국내 공공 오케스트라 문제에서 지휘자가 보다 능동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악단 내부 문제를 인식하면서도, 3, 4년 후 다른 곳으로 옮길 수도 있다’는 마음으로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자세를 바꿔야 한다는 주문이다.

지자체 역량 강화도 시급하다. 서울·부산 등 광역지자체가 아닌 곳에선 오케스트라 운영 인력이 서너 명 남짓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가 상대적으로 적은 행정부시장이나 고위급 일반 공무원이 예술단장을 맡는 경우도 꽤 있다.

김 연구원은 젊은 지휘자가 단무장(사무장)과 자주 소통하며 시 행사와 외부 공연에도 적극적으로 나선 끝에 관객 점유율이 높아지고, 지자체 관심도 커져서 시향 지원이 늘어난 A시를 모범 사례로 꼽았다. “작은 단체였기에 ‘우선은 시민들에게 우리를 알려야 한다’고 생각하고 시 행사에도 적극 참여하고 지역 병원 등에서도 공연한 게 굉장히 긍정적 반응을 얻었고 단원들도 만족스러워한 거죠. 그러면서 관객 점유율도 높아지니 시에서도 더 많은 관심을 주더랍니다.”

 

박성준 기자, 사진=서상배 선임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