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기후·녹색 ODA 늘려 개도국 탄소중립 지원”
47개국 정상 등 화상회의 참여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온실가스 배출 감소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개발원조(ODA)의 기후·녹색분야 비중을 대폭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린 뉴딜펀드 신탁기금 조성과 P4G 활동에 총 900만달러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화상회의 형태로 개최된 ‘2021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개회식에서 “2025년까지 기후·녹색 ODA를 대폭 늘려 녹색회복이 필요한 개발 도상국을 돕고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에서 500만달러(약 56억원) 규모 그린 뉴딜펀드 신탁기금을 신설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2025년까지 전체 ODA에서 리우협약 이행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리우마커+환경마커’ 표기 ODA 사업 비중을 현재의 19.6%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원조위원회(OECD DAC) 평균인 28.1% 이상으로 늘려 잡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석탄화력발전 의존도가 큰 개발도상국들의 에너지 전환을 돕겠다”고 했으며 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제26차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COP26)에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상향해 제시하겠다는 정부 방침을 재확인했다. 정부는 유엔에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로 2017년 배출량(7억910만t) 대비 24.4% 감축을 제시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이외에 P4G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해 400만달러(약 45억원) 규모의 기금을 신규로 공유하겠다고 했고 생물다양성보호지역 확대 연합 및 세계 해양 연합 이니셔티브 동참 의지도 밝혔다. 해양 플라스틱 오염과 관련해 유엔 차원에서 조속히 논의를 개시할 것도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2023년 제28차 기후변화당사국 총회(COP28) 유치를 추진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을 잇는 가교 국가로서 책임과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부터 1박2일 일정으로 개의한 P4G 정상회의는 한국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환경분야 다자 정상회의이며 미국의 존 케리 기후 특사, 중국의 리커창 총리 등 47개국 정상 및 고위급 공직자와 21명의 국제기구 수장 등 총 68명이 화상회의 형태로 참석한다.
한편 문 대통령은 P4G 회의 전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와 화상으로 정상회담을 갖고 한·덴마크 양자 관계를 ‘포괄적 녹색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기로 합의했다. 양국 정상은 태양광과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정부 간, 기업 간 협력을 증진하기로 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