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하순 이후 감염자 격리 면제
취약계층 보호·관리 빈틈 없어야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2/04/15/20220415513386.jpg)
다음 주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가 2년1개월 만에 전면 해제된다. 정부가 어제 발표한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계획’은 18일부터 현행 10명인 사적 모임 제한과 12시까지인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제한을 풀고 코로나19 감염병 등급도 25일부터 1급에서 2급으로 낮추는 게 핵심이다. 이에 따라 4주간 조정이행기를 거쳐 5월 하순부터 확진자 격리 의무가 사라지고 재택치료도 없어진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지난해 12월 이후 잠시 멈췄던 단계적 일상회복의 여정을 다시 시작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정점을 지났다지만 일상회복을 낙관하기는 이르다. 문재인정부는 작년 11월 백신 접종만 믿고 섣불리 단계적 일상회복에 나섰다가 큰 화를 자초했다. 오미크론 유행 여파로 확진자와 중증환자가 급증하고 병상 부족 탓에 의료대란까지 벌어지지 않았나. 그때의 방역실패가 되풀이되지 말란 법이 없다.
위험은 도처에 도사리고 있다. 신규확진자가 줄어들긴 했으나 여전히 10만명대에 이른다. 자고 나면 1000명 안팎의 위중증환자가 쏟아지고 200∼300명이 숨진다. 오미크론 변이보다 전파력이 센 ‘XE’ 변이까지 국내에서 출현한 마당이다. 재유행을 걱정하는 국제사회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얼마 전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올가을 미국에서 코로나19 재확산이 일어날 것”이라고 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방역 완화에 우려를 표명하며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유지하고 있다.
긴장의 끈을 놓을 때가 아니다. 방역당국은 해외감염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신종 변이 출현에 대비해 비상대응책을 세워둬야 한다. 취약계층 보호와 고위험군 관리가 최우선 과제일 것이다. 지금도 신속한 진단과 팍스로비드 등 먹는 치료제 처방·투약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의료체계 일상화 과정에서 혼선이 빚어지면 중증환자와 사망자가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생활치료센터와 감염병 전담병원을 축소하더라도 중환자 병상 부족 때 인명피해가 커질 수 있는 만큼 병상관리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 경증환자 치료·관리와 ‘롱 코비드’ 대책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될 일이다.
마스크 착용 해제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방역 당국은 마스크 착용 의무를 현행대로 유지하면서도 2주 후 실외 착용 여부를 결정한다고 한다. 집단면역이 확인되지 않은 마당에 마스크 해제는 위험천만하다. 정부가 거리 두기 해제에 맞춰 축구와 야구, 농구, 배구 등 프로스포츠 4개 종목에 반값 할인 티켓 40만장을 주고 최대 3만원 숙박료 할인권까지 지급하겠다니 어이가 없다. 이런 대책은 방역 해이로 이어져 감염 확산의 도화선으로 작용할 소지가 다분하다. 코로나19 확산세가 확실히 꺾인 후 시행해도 늦지 않다. 이제 국민 개개인이 자신의 건강과 안전을 챙겨야 하는 각자도생의 상황에 처했다. 스스로 방역수칙을 지키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절실한 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