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2/04/18/20220418518326.jpg)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광폭 경제 행보를 이어 가고 있다. 윤 당선인은 어제 정재계와 학계, 시민단체 인사를 만나 “우리 경제의 재도약을 위한 기틀을 닦고 경제안보시대를 철저히 대비해 나가겠다”고 했다. 앞서 지난달 경제 6단체장과의 간담회에서는 “저성장을 극복하고 양극화를 해소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신발 속 돌멩이 같은 불필요한 규제들을 빼내겠다”고도 했다. 대통령 당선인이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의 주역인 경영계를 만나 애로사항을 듣고 격려하는 건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윤 당선인의 행보를 바라보는 경영계의 시선은 불안하다. 경제·안보 복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동개혁이 시급한데 문재인정부의 노조편향정책이 반복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가실 줄 모른다. 윤 당선인이 고용노동부 장관에 이정식 전 한국노총 사무처장을 내정한 데 이어 한국노총을 방문해 “한국노총의 친구로 남겠다”고 한 것도 경영계의 불안감을 자극한다. 현 정부는 그동안 최저임금 과속인상, 주 52시간 근무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친노조정책으로 노사관계를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만들었다. 강성귀족노조의 입김은 더 세지고 청년과 취약계층의 고용난은 더욱 심화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최저임금(시급 8720원)조차 받지 못한 근로자가 전체의 15.3%인 321만5000명에 달했다.
어제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새 정부의 노동정책 방향을 긍정적으로 보는 응답(34.9%)이 반대 응답(9.3%)보다 많았지만 보통이라는 답변도 절반을 웃돌았다. 기업들은 노동정책과제로 근로시간 유연화(27.9%), 중대재해처벌법 보완(24%), 균형 잡힌 노사법제 마련(21.7%), 노동시장 경직성 완화(16.3%), 최저임금제 개선(10.1%)을 꼽았다. 기업의 발목을 잡는 ‘돌멩이 규제’는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대한상의와 경총도 인수위에 “노사 간의 균형을 바로잡아 달라”고 호소했다.
윤 당선인은 경영계의 조언을 새겨들어 노동시장을 정상화하는 데 앞장서길 바란다. 새 정부는 성장동력과 일자리 확보를 위해서는 노동개혁이 최우선 과제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시도 때도 없이 반복되는 민주노총 등 강경노조의 불법행위를 방치해서는 안 될 일이다. 안철수 인수위원장이 대선 후보 시절 “강성귀족노조는 불평등 세상을 조장하고 일자리 창출을 막는 해악 세력”이라고 했는데 결코 과장이 아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