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치쇼·총선용·사기극”… ‘메가시티’에 날 세운 김동연, ‘북부특자도’에 총력 [밀착취재]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11-17 07:00:00 수정 : 2023-11-17 02:59:0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오세훈-김동연-유정복 회동…메가시티 입장차
金 “지방분권에 역행” vs 吳 “도시연담화 현상”

“김포시의 서울 편입은 어떤 비전과 절차를 거쳤습니까. 국민은 두 눈 부릅뜨고 좌시하지 않을 겁니다.”

 

16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의 기자회견장에 들어선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눈 밑이 가볍게 떨렸다. 그동안 절제된 표현으로 불만을 표출해온 그는 이날 잔뜩 날이 선 말투로 포문을 열었다.

 

앞선 1시간가량의 수도권 광역단체장 3자 회동이 순탄치 않았음을 암시하는듯했다. 김 지사를 지켜보던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정복 인천시장의 얼굴에는 근심이 서려 있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뉴시스

◆ “현격한 의견 차이…의견 차이에 관해 얘기”

 

김 지사는 ‘희망의 끈’을 놓아버린 듯 보였다. 그는 “서울과 인천의 시장님 두 분과 다섯 번째 3자회담을 했다”며 “‘메가시티’에 대해선 서로 아주 현격한 의견 차이를 확인했다. 의견 차이에 대한 얘기만 나눴을 뿐, 특별히 다른 진전은 없었다”고 단언했다.

 

여권의 메가시티에 대해선 ‘지방분권에 역행’, ‘정치쇼’, ‘총선용’, ‘사기극’, ‘총선과 함께 사라질 이슈’라며 다양한 비판을 이어갔다. 

 

그러면서 좌초 위기에 놓인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다시 끄집어냈다. 지난달 30일 급작스럽게 튀어나온 여당의 메가시티 주장에 경기도가 자체적으로 추진해온 북부특별자치도의 로드맵이 묻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는 “(북부특별자치도는) 비전 제시부터 모든 절차와 의견 수렴을 다 거쳤는데, 김포시의 서울 편입은 어떤 비전과 절차를 거쳤느냐”고 되물었다. 주민 의견 수렴과 여론조사, 도의회 의결까지 거쳐 주민투표만 남겨둔 북부특별자치도 출범이 행정안전부의 비협조로 정체된 상황을 토로한 것이다. 

 

그는 “만약 정치적 이유로 소극적으로 하거나 이것을 반대하면 우리 국민이 두 눈 부릅뜨고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제까지 준비했던 모든 것들, 또 비전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봐서 빨리 추진돼야 하고 중앙정부에서도 주민투표의 전향적 모습을 보여주길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런 김 지사의 불만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지금 이 정부는 모든 걸 거꾸로 가고 있다”며 “국토균형발전에 어긋나는 서울 확장을 하고 있고 미래 투자 얘기를 하지만 연구·개발(R&D) 예산을 16.7% 깎았다. 또 탄소중립 얘기를 하면서 기후변화에 역행한다”고 성토했다.

 

16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 열린 수도권 광역단체장 3자 회동에서 유정복 인천시장(왼쪽부터)과 오세훈 서울시장,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김포시 서울 편입’ 등과 관련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메가시티 vs 북부특별자치도…특자도 주민투표 ‘마지노선’, 내년 2월 초

 

결국, 그는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서 정확하게 보시고 판단하실 거라 믿는다”며 국민 여론에 기대는 모습을 내비쳤다.

 

이날 3자 회동의 분위기는 이어진 오 시장의 브리핑에서도 가감 없이 드러났다. 오 시장은 “사안을 바라보는 시각 자체가 상당히 다르다는 점을 오늘 확인했다”면서 “나는 이게 자연스럽게 이뤄져 온 연담화의 연장선상이라고 생각하나 김 지사는 선거를 앞둔 사실상 불가능한 논의 제기라는 입장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출발점이 다르다 보니 그 부분에 대해서는 짧은 시간 공통점을 확인하긴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여권의 메가시티 논의에 따라 당장 북부특별자치도 로드맵이 내년 4월 총선 전까지 중단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대응 전략을 두고 장고에 들어간 가운데 의원 입법으로 발의된 관련 법안이 멈춰 설 것으로 보인다. 애초 경기도의 목표는 내년 2월 초까지 주민투표를 마치는 것이었다.

 

이 경우, 김 지사의 임기 내인 2026년 7월 북부특별자치도 출범은 안갯속에 빠지게 된다. 경기도는 계획에 차질을 빚자 시·군별 공청회를 잇따라 열어 서울시 편입의 단점을 부각하는 등 여론을 진정시키는 데 온 힘을 쏟고 있다.

 

앞서 경기도와 도의회가 지난달 26일 행안부에 공식 제출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특별법 제정을 위한 주민투표 실시 요청안’에선 대상 지역에 김포가 빠진 한강 이북 10개 시·군이 포함됐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수지 '우아한 매력'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
  • 하이키 휘서 '미소 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