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지적조사·화재진압… ‘드론행정’ 뜨네

입력 : 2024-03-06 21:48:29 수정 : 2024-03-06 21:48:2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경기지역 지자체 도입 활성화

성남시, 배송·하수관 점검 등 선도
이천 인력 양성·광주 재난구조 활용
수원시는 공간정보 플랫폼 고도화

경기 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이 드론을 활용한 ‘적극행정’을 펼치고 있다. 지적조사와 배관 점검, 화재 진압, 배송까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6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성남시는 최근 국토교통부의 ‘드론 실증도시 구축 사업’에 4년 연속 선정되며 올 11월까지 7억원을 투입, 본격적인 드론 배송에 도전한다. 시는 지난해 8월 전국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공원 드론 배송을 상용화한 바 있다. 분당구 중앙공원과 탄천에서 치킨, 커피 등 음식물과 물품을 주문하면 드론으로 유상 배송하는 차세대 물류 서비스다.

시는 올해 기존 배달점 4곳을 10곳으로 늘리고 배송 횟수도 2배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대학병원, 의료품 유통기업과 손잡고 의료품 드론 배송의 상용화에 나선다.

성남시는 이날부터 8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4 드론쇼 코리아’에 참가해 시가 추진해 온 사업의 성과를 공유한다.

드론 특화도시의 기치를 올린 이천시도 전날 육군정보학교와 드론산업 발전과 방산기업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교환하며 속도를 내고 있다.

협약서에는 드론특화공원 조성과 비행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전문 인력 양성, 군 합동 드론 축제 개최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천시는 그동안 농약 살포와 화재 감시 등에 드론을 활용했으나 육군항공작전사령부, 특전사령부 등 관내 군부대 주둔지 인근에선 드론 비행이 금지돼 어려움을 겪었다.

김경희 이천시장은 “육군정보학교와 손잡고 민·관·군 네트워크를 구축해 방위산업 육성의 토대를 닦겠다”고 말했다.

남한산성 일원 등 산악 지역이 많은 광주시도 경기남부경찰청과 협업해 드론 관련 조례를 지난해 12월 개정했다. ‘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 조성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경찰과 기초지자체가 손잡고 조례를 개정한 첫 사례로, 재난 구조에 드론을 이용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 조례에 따라 광주시는 실종자 수색, 교통 관리, 범죄 예방 등의 업무에 드론을 투입하고, 예산도 지원한다. 광주시의 경우 드론으로 촬영한 최신 파노라마 사진으로 원하는 곳의 현장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수원시 역시 지난해 9월 경기도, 소방 당국과 함께 민·관·경 드론 지원 업무협약을 교환한 바 있다. 수원시의 경우 안전 분야 외에 공간정보 플랫폼 고도화 사업에도 드론을 투입했다.

지적 재조사에 투입된 드론은 지역 개발사업지구 등에 보내져 정보를 확보한 뒤 공간정보 플랫폼에 이를 탑재하는 역할을 맡는다.

수원시 관계자는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을 촬영할 수 있고 시간과 인력을 줄여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수원·성남·이천·광주=오상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