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진료센터 6월에 문 열어
“한 공간서 함께 지내는 동물들
가축 아닌 위로가 돼 주는 존재”
“펫 휴머니제이션(Pet Humanization)은 우리가 막을 수 없는 다변화된 사회의 요구상이라고 봅니다. 정책도 이에 발맞추는 게 맞지 않을까요.”
경기 김포시는 지난 6월 말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 반려동물에 대한 공공의료서비스를 시작했다. 그 결실인 반려동물 공공진료센터 실무 책임자인 유난영 김포시 가족문화과 반려문화팀장은 센터 운용에 대해 “동물을 인간처럼 대하고 보살피는 현상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려동물 진료센터는 공공 영역에서 지속적 질병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핵심이다. 김포시민들은 센터에서 무료로 반려동물의 기초상담 및 진찰을 받을 수 있다. ‘댕댕이’와 ‘냥냥이’에 대한 처치나 수술이 필요할 경우 센터는 원하는 지역의 동물병원을 안내한다. 내장칩 등록과 광견병 예방접종, 엑스(X)레이 촬영, 전혈구 검사는 유료로 받을 수 있다. 취약계층과 65세 이상 1인가구에게는 해당 항목들이 무료로 제공된다.
이달 11일 김포골드라인 운양역 인근에 위치한 반려동물 공공진료센터에서 만난 유 팀장은 “반려문화를 복지분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2년 말 기준 국내의 반려인은 1262만명 552만가구이다. 급증하는 반려인구와 함께 ‘반려동물 친화도시’를 표방한 김병수 김포시장의 공약에 따라 지자체 중에서는 처음 공공진료센터를 개소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유 팀장은 “한 공간에서 함께 지내고 있는 동물은 더 이상 가축이나 애완이 아닌 마음을 나누고 공감하며, 때로는 위로가 돼 주는 존재”라며 “김포시가 다른 도시들보다 한 발 빠르게 ‘공공형 진료소’ 검토와 함께 사업을 추진해온 배경”이라고 말했다.
물론 센터가 올해 6월24일 개소식을 갖기 전 우여곡절은 많았다. 일단 수의업계가 민간의 영업권 침해를 이유로 들어 반발하고 나섰다. 유 팀장은 “전례가 없던 탓에 벌어진 불가피한 마찰이었다”며 “서로 영역을 이해하고 적응해가는 단계”라고 말했다. 아직까지 수의업계와의 갈등은 여전하다고 전한 유 팀장은 “최종 치료보다는 사전 진단에 초점이 맞춰진 센터 역할을 지속적으로 이해시키겠다”고 말했다.
센터에는 기존 동물병원 운영 경험이 있는 수의사 한 명이 화∼토요일 오전 10시∼오후 6시 상주한다. 당일 현장 접수도 가능하지만 예약이 원칙이다. 목요일은 직장인들의 편의를 고려해 야간진료를 실시한다.
‘왜 세금을 동물들한테 쓰느냐’는 일부 시민들의 비판도 당국이 넘어야 할 산 중 하나다. 유 팀장은 “모든 시민들이 행정의 수혜자가 될 수는 없다. ‘나는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관점이 있다고 해서 세금이 허투루 쓰이는 게 아니다. 필요한 적재적소에 투입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반려가구에 대한 의료비 부담 완화는 유기·유실동물 감소 및 이들의 처리에 드는 사회적 비용까지 대폭 줄일 것이라는 게 시의 판단이다.
3개월여간의 센터 운영은 일단 합격점이다. 센터가 지난 7월5일∼8월24일 센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유용성과 시설 편의성, 서비스 안내도 등 6개 항목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4.8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 응답자는 “시에서 이런 시설을 운영하는 게 놀랍다. 반려인으로 감사하다”는 소감을 적었다. 벌써부터 진료 항목 확대를 놓고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다.
유 팀장은 “반려동물의 건강 증진부터 행동교정 및 보호자 교육을 관장하는 복지 거점센터로 나아갈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 모두가 갈등 없이 서로를 이해하며 살아가는 성숙한 반려문화 조성에 힘쓰겠다”고 힘줘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