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대통령 질타에도 또 산재 사고, 근본 대책 마련하길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5-08-05 23:00:01 수정 : 2025-08-05 23:00:00

인쇄 메일 url 공유 - +

포스코이앤씨, 연이은 현장 사망사고 재발 방지 대책 담화문 발표 (인천=연합뉴스) 임순석 기자 =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사장이 29일 인천 송도 본사에서 연이은 현장 사망사고와 관련한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올해 포스코이앤씨 현장에서 연이은 산업재해 사고로 노동자들이 숨진 사실을 언급하며 질타했다. 2025.7.29 soonseok02@yna.co.kr/2025-07-29 17:25:13/ <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포스코이앤씨가 시공을 맡은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가 사고를 당해 의식불명에 빠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 4일 오후 1시 34분 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공사 현장에서 미얀마 국적의 근로자 A(31)씨가 감전으로 추정되는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인근 병원에 이송됐다. 사고 현장은 회사 측이 안전점검에서 문제가 없다고 자체 판단해 이날부터 작업을 재개했던 곳이다. 지난달 29일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사장이 잇따른 산업재해에 대해 사과문을 발표한 지 엿새 만에 벌어진 사고라 어이가 없다.

 

A씨는 사고 당시 지하 18m 아래에서 바닥에 고인 물을 배수하는 양수기가 작동하지 않자, 이를 점검하기 위해 내려갔다고 한다. 폭우로 침수된 구간에서 물을 빼내기 위해 양수기를 옮기던 중 감전됐다는 의사 소견이 나왔다. 일반적으로 공사 현장에서는 감전사고 예방을 위해 양수기 외함에 접지하고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경찰은 전력 차단 등 안전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 중이다. 사실이라면 후진국형 인재가 아닐 수 없다.

 

포스코그룹 계열사인 포스코이앤씨에서는 지난달 28일 경남 의령군 고속국도 공사 사업장에서 60대 근로자가 천공기에 끼여 숨지는 등 올해만 4명이 목숨을 잃는 산재 사고가 발생했다. 오죽하면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이 회사를 지목하며 “똑같은 장소에서 똑같은 사고가 발생하는 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아니냐”고 질타했겠나. 그런데도 산재 사고가 반복되는 건 회사 자체에 구조적 문제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반복된 사고에 책임을 지고 정 사장이 어제 사의를 밝혔지만, 고용노동부는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산재 공화국’이란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근로자 827명이 추락·끼임·깔림 등 산재 사고로 목숨을 잃었고, 이 중 589명은 사업주의 안전보건조치 위반 때문에 변을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산재 인정 근로자도 2098명으로 1년 전보다 4.1% 증가했다. 이 대통령은 “올해를 산업재해 사망 근절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노동부 장관에겐 “사람 목숨을 지키는 특공대라고 생각하고 철저하게 단속해야 한다. 직을 걸라”고 했다. 말로만 그쳐선 안 될 것이다. 현장 안전관리를 대폭 강화하고 실효적인 근본 대책을 세워 안타까운 죽음이 더는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윤아 '청순 미모'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