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국제작가축제 참석차 방한
휴고상 등 미국 주요 SF상 수상
“AI, 문장 구성 방법만 알고 있어
예술의 감흥은 여전히 인간의 몫”
극우 주류화하는 美 정치 우려도

미국의 소설가이자 뮤지션인 세라 핀스커(48)는 하나의 정체성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창작자다. 2013년 데뷔 이후 휴고상, 네뷸러상, 로커스상, 필립 K. 딕 상, 시어도어 스터전상 등 미국 주요 SF 문학상을 휩쓴 그는 록 밴드 ‘스토킹 호시스(Stalking Horses)’의 멤버이자 싱어송라이터로 여러 장의 앨범을 발표한 프로 뮤지션이기도 하다.
서울국제작가축제 참석을 위해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한 그를 12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6~7세 무렵부터 소설 쓰기를 시작했다는 그는 어릴 적부터 상상과 이야기 속에 살았다고 회상했다.
“텍사스에 살 때 제 방에 옷장이 있었는데, 동생과 친구들에게 ‘저 옷장 구석으로 들어가면 미끄럼틀을 타고 부엌으로 쭉 내려갈 수 있어!’라고 말하곤 했어요. 말도 안 되는 이야기죠. 그렇지만 저는 ‘들어가서 저쪽을 봐봐!’ 하면서 계단을 달려 내려가 찬장을 열고 냄비랑 프라이팬을 막 꺼내 던지고는 ‘어때, 나 여기로 떨어졌지?’라고 했어요. 여섯 살 무렵이었어요.”
글쓰기와 음악을 오가며 서사를 구축해 온 핀스커의 문학작품 속, 음악은 자주 등장하는 테마다. 그는 “작가가 된다는 건 자신만의 목소리를 찾는 과정”이라며 “공연을 위해 이곳저곳을 여행한 덕분에 음악에 관한 수많은 이야기를 쓸 수 있었고, 그건 오직 나만이 쓸 수 있는 이야기였다”고 돌아봤다.

네뷸러상 수상작인 단편 ‘열린 길의 성모’는 홀로그램 밴드의 등장으로 라이브 밴드가 설 자리를 위협받는 근미래를 그렸다. 최근 창작계의 화두가 된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해 그는 기술적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AI는 의료 분야 등에서 정말 유용하게 쓰이고 있죠. 하지만 글쓰기에 있어 거대언어모델(LLM)은 다음에 올 단어를 예측해 패턴을 따라갈 뿐이죠.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은 알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는 알지 못해요. AI는 저와 제 동료들의 작품에서 ‘훔쳐오는’ 것뿐이에요. 기술적으로야 이야기를 만들 수 있겠지만, 제 감정을 건드리는 이야기를 쓰기까지는 아직 멀었다고 봐요.”
핀스커는 예술의 감흥은 여전히 인간의 몫이라고 강조했다. “음악의 큰 즐거움은 라이브 공연에서 와요. 연주자들이 가끔 실수하는 것이 오히려 음악을 더 흥미롭게 만들죠. 그날의 변주, 그 순간 사람들과 나누는 교감이 음악을 특별하게 합니다. 이런 점은 이야기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좋은 이야기는 인간에 대해, 인간의 조건에 대해 뭔가를 말하는 것이니까요.”
여러 작업을 병행하는 비결에 대해 묻자 그는 웃으며 “강아지 산책”이라고 답했다. “아침에 일어나서 두 마리 강아지를 데리고 나가요. 음악은 절대 틀지 않아요. 아무것도 듣지 않고 그냥 걷죠. 그동안 생각해요. ‘어제 어디까지 썼지? 오늘은 뭘 쓸까? 오늘 목표는?’ 그렇게 집에 돌아가면 이미 머릿속이 정리돼 있어요. 문서상으로는 아무것도 없지만, 이미 쓸 내용이 정해진 거죠. 그래서 저는 빈 페이지 앞에서 멍하니 앉아 있을 필요가 없어요.”
한국의 젊은 창작자들에게도 조언을 건넸다. “가장 중요한 건 이야기를 끝내는 법을 배우는 거예요. 초고는 항상 엉성하고 엉망일 수밖에 없어요. 하지만 끝까지 써야만 편집도 할 수 있고 피드백도 받을 수 있어요. 제 학생들이 ‘이 장면에서 막혔어요’라고 말할 때면 저는 이렇게 말해요. ‘일단 뭐든 써보세요. 싸움 장면이든, 사랑 장면이든. 나중에 고쳐도 되니까요. 어쩌면 그 장면이 실제로는 필요 없을 수도 있어요.’”
극우 이념이 주류화하는 미국 정치 상황에 대한 우려도 드러냈다. 그의 첫 번째, 두 번째 장편 모두 근미래 SF이지만, 최근에는 그런 이야기를 쓰기 어려워졌다는 토로도 이어졌다. “저는 디스토피아가 아니라 희망이 담긴 이야기를 쓰고 싶거든요. 그런데 지금(사회적 현실)은 너무 화가 나서 희망적인 이야기를 쓸 수가 없어요. 대신 다크 판타지와 공포 소설을 쓰고 있죠.”
그의 작품 중 한국어로 번역된 유일한 단행본은 첫 단편집 ‘언젠가 모든 것은 바다로 떨어진다’(창비)다. ‘핀스커 입문자’에게 추천하고 싶은 수록작을 묻자 그는 고민 끝에 답했다. “‘이차선 너비의 고속도로 한 구간’은 ‘나는 SF 안 읽어요’라고 말하는 이들에게도 잘 맞는 작품이죠. ‘그리고 (N-1)명이 있었다’도 좋은 입문작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그걸 먼저 읽으면 저를 아주 이상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실걸요.”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