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80세 은퇴시대’ 준비하며 [오세혁의 행복도시 만들기]

입력 : 2022-03-19 12:43:28 수정 : 2023-08-19 19:06:2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얼마 전 어느 언론 기사에서 50년 후 우리나라 인구 절반이 62세 이상의 고령자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무엇보다 농촌의 고령화가 가장 심각한 문제일 것이다. 고령화만의 문제로 단순 치부할 일은 아니다. 장기적으로 국가의 농업 생산성과 식량 주권을 둘러싼 문제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또 농촌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도시 인구의 고령화도 국내 기업과 산업현장에서 인력 수급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국가 경쟁력을 위해 노인 인구의 경제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시점인 것이다.

 

지금까지 정부는 농업 종사자의 고령화에 따라 기계화 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앞으로도 더욱 고령화될 상황에 맞추어 스마트 농업 지원 사업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농산물 수확 시기의 인력난은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숙제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전 세계적 대유행)의 장기화로 지난해 농촌의 인력 수급은 매우 힘들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몇몇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다문화 친정 가족의 국내 단기초청 근로도 좋은 방안이기는 하나 국내와 해외 도시 간 농번기 단기인력 공급 협약을 통한 체계적인 지원, 농업인과 단기 구직인력을 연결해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모색해 볼 만한 정책일 것이다. 

 

고령화에 따른 산업현장의 인력난도 많은 난제를 안고 있다. 고학력 젊은 세대의 현장 근무 기피에다 기존 인력의 고령화까지 겹친 만큼 단순한 문제가 아닐 것이다. 

 

기존 관념적 인식의 변화를 시도해야 할 시기이다. 지금까지 50세 이상의 조기 퇴직자와 60대 이상의 시니어에 대한 직업교육은 전문직이 아닌 단순근로와 비전문성 분야에 국한됐던 게 현실이다. 이 같은 교육이 주류를 이뤄서는 안 된다.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적어도 20년에 걸친 장기직업 플랜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단기가 아닌 전문성 있는 직업교육과 기업의 주문식 직업교육을 함께 시행해야 할 것이다.

 

노인 직업교육에 대한 방안으로 지역별 전문학교 설립도 고려해볼 수 있는 방안이다. 흔히 건강을 위해 적당한 일거리가 있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그건 옛말이다. 100세 시대에 따른 노후의 건강하고 윤택한 생활을 위해서는 적정 연령까지 활발한 경제활동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노인은 취업교육의 중요한 대상이며, 고용의 대상으로 인식할 시기가 온 것이다.

 

경북도 광역의원(경산시), 경북도의회 정책연구위원장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