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문제를 극복하자면 정부 차원에서 자녀양육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보육 서비스 확충 등 유효한 정책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특히 취업 여성의 경우는 일을 하면서도 보육이 가능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을 바라고 있다. 마이너스 출산율을 보이다가 근래 플러스 출산율(2.1명)을 기록하고 있는 프랑스의 성공 사례는 눈여겨볼 만하다. 프랑스는 자녀수당 외에도 장기출산 휴가, 복직 때 과거의 직위는 물론 연공서열을 법으로 보장하고 있다.
아이를 낳으면 돈을 주겠다는 식의 단편적인 정책만으로는 저출산 문제를 극복할 수 없다. 가임여성들이 합리적인 출산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다양한 모자보건 사업을 강화해야 한다. 정부 유관부처와 사회 각 부문이 적극 협력해 그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인간과 가족에 대한 깊은 이해에 바탕을 둔 장기적인 안목의 출산정책을 펼 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