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4대강 정비계획이 운하 계획이라는 김 연구원의 주장을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라며 부인했다. 반면, 대통합민주당 등 야권에서는 정부가 그동안 여론수렴 계획을 번복하고 결국 비밀기획단까지 구성해 추진해 온 것으로 밝혀졌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1일 대구·경북도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한반도 대운하와 관련, “(물길의 각 구간을) 잇고 하는 것은 국민이 불안해하니까 뒤로 미루자”고 했다. 이는 환경파괴와 경제성 논란의 핵심인 한강∼낙동강 연결 사업은 뒤로 미루고 4대강 정비와 수질개선, 뱃길 복원 사업부터 진행하는 등 대운하를 전면 추진이 아닌 단계적 추진으로 수정한 것으로 해석됐다. 그러나 김 연구원은 이와 상반되는 주장을 펴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우리는 이미 여러 차례 대운하 추진 계획의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대선 공약이었지만 국민의 반대가 많은 만큼 추진 여부는 국민의 뜻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뒤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정부는 이 대통령이 제시한 가이드 라인처럼 단계적으로 추진하되 대운하 건설을 염두에 둔 것이라면 투명하고 공개적인 여론수렴 절차를 거쳐야 마땅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