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자고나면 커지는 박연차 회장 비리의혹…“참여정부 사정라인 도대체 뭐했나”

입력 : 2008-12-05 09:28:46 수정 : 2008-12-05 09:28:46

인쇄 메일 url 공유 - +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이 4일 비행기에서 난동을 부린 사건 항소심 선고공판에 참석하기 위해 부산지법에 들어서던 중 휴켐스 인수과정 의혹 등에 대해 취재진의 질문을 받자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부산=연합뉴스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 관련 비리의혹이 계속 터져 나오는 가운데 노무현 정부 사정라인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대통령의 경제적 후원자이자 ‘측근’인 박 회장의 행보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알짜’ 휴켐스 인수에 86억원 시세차익도=대검 중수부는 4일 박 회장이 2006년 5∼7월 휴켐스 주식을 대량으로 사들인 과정에 석연치 않은 점이 있다고 보고 수사하고 있다.

박 회장의 주식 매집 후 휴켐스는 농협에서 떨어져 나와 태광실업 계열사가 됐다. 그 뒤 오른 주가 덕에 박 회장은 약 86억원의 이익을 봤다. 검찰은 미공개 정보에 의한 주식거래로 의심하고 있다. 사실이라면 알짜배기 회사를 예상액보다 300억원가량을 싸게 구입한 데서 그치지 않고 거액의 부당이득까지 챙긴 셈이다.

박 회장이 휴켐스 인수를 위해 구성한 컨소시엄에 신한은행, 신한캐피탈, 대구은행, 경남은행 등이 참여한 경위에도 의혹의 눈길이 쏠린다. 이들은 2006년 5월 휴켐스 공개입찰 직전 박 회장 컨소시엄에 합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금융기관을 끌어들이고 싶었던 박 회장이 참여정부 실세를 동원해 청탁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참여정부 사정라인 ‘책임론’ 제기=참여정부 시절 대통령 측근들을 관리해야 할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도대체 무엇을 했느냐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참여정부의 민정수석은 문재인(2003년 2월∼2004년 2월), 박정규(2004년 2월∼2005년 1월), 문재인(2005년 1월∼2006년 5월), 전해철(2006년 5월∼2007년 12월), 이호철(2007년 12월∼올해 2월)로 이어졌다.

과거 정권이 베테랑 검사 출신을 앉혀 사정을 지휘하게 한 것과 달리 참여정부 민정수석들은 박씨를 제외하곤 수사 경험이 없다. 전남 출신인 전씨를 빼면 다들 부산·경남이 고향이다. 노 전 대통령 측근들과 ‘끈끈한’ 인연으로 얽힐 수밖에 없다.

대통령 측근들에게 단호하지 못하고 온정적으로 대처하기 쉽다. 민정수석을 가장 오래 지낸 문씨가 현재 노 전 대통령의 형 건평씨 변호를 맡은 점도 주목할 만하다.

검찰 책임도 무겁다. 불법 대선자금 수사가 끝난 2004년부터 사정의 ‘칼날’이 무뎌졌다는 지적이다. 참여정부 중반 2년간 각각 검찰총장, 서울중앙지검장으로서 부패사정을 총지휘한 정상명·이종백씨가 노 전 대통령과 사법시험 17회 동기로 절친한 것과 무관하지 않느냐는 분석도 나온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박보영 '순백의 여신'
  • 장희령 '해맑은 미소'
  •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이영애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