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관 5928명과 순찰차 등 장비 2292대를 동원한 3·1절 폭주행위자 특별단속에서 전국적으로 120명(형사입건 12명)만 적발됐다. 그나마 도심 폭주가 아니라 불법 유턴 등 단순 위법 행위가 문제된 것이다. 도대체 무슨 이유로 그 많던 폭주족들이 안 보이는 것일까.
경찰 단속과 처벌 강화에 따른 폭주족들의 심리 위축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찰은 2009년 4월 서울경찰청에 전담수사팀을 설치하는 등 폭주족 단속 전문성을 강화했다. 또 폭주 행위가 ‘군중심리’ 탓이라고 판단해 폭주족들의 집결 자체를 차단하는 데 힘썼다. 전담 수사팀은 이들이 집결 일시와 장소, 경찰 단속 정보 등을 공유하는 인터넷 카페를 폐쇄하고, 폭주를 선동하는 ‘리더급’ 폭주족들을 집중 관리했다.
‘1년 이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 벌금’이었던 처벌 기준도 올해부터 ‘2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 벌금’으로 대폭 상향됐다. 이후 서울에서 도심 폭주 행위로 적발된 인원은 2008년 8·15 광복절 때 200명이었지만, 전담수사팀이 꾸려진 이듬해 광복절엔 30명으로 87%가량 줄었다가 지난해 3·1절부터는 ‘제로’다. 서울청 폭주족 전담팀 장흥식 경위는 “회원이 4000여명이나 됐던 ‘강남연합 최강폭주’ 카페 등 서울의 11개 폭주족 카페를 폐쇄하고, 리더급 등 요주의 인물을 중심으로 사전 경고 등 꾸준한 관리를 한 게 주효한 것 같다”고 말했다.
나기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