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북한의 산림 면적은 1990년 820만6000ha에서 연평균 12만7000ha가 사라지면서 지난해에는 566만6000ha 수준으로 준 것으로 추정됐다. 매년 서울시 면적(6만500ha)의 2배 이상이 사라진 셈이다. 1970년 북한이 발표한 977만3000ha에 비해서는 40년 만에 무려 43.0%나 감소했다.
최근 국립산림과학원도 위성 영상자료 분석에서 북한의 황폐화한 산림이 1999년 163만ha에서 2008년 284만ha로 서울시 면적의 약 20배인 121만ha가 늘어났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 산림이 황폐화한 원인으로 산림 분야 전문가들은 홍수와 자연재해 등 이상기후를 꼽는다. 또 경제 상황이 나빠지자 ‘다락밭(계단밭) 찾기 운동’을 벌이는 등 산림을 다른 용도로 전용한 것도 주요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서울대 산림과학부 김성일 교수는 “북한의 산림황폐화 규모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최근 그 규모와 속도가 심각한 상황인 것은 분명하다”며 “국제사회의 정책적인 지원과 재정적인 원조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도움을 적극 요청한다면 그 시기와 장소는 다음달 10일 창원에서 열리는 UNCCD 10차 총회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경남도도 최근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원조 허용 움직임을 볼 때 북한의 총회 참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유엔개발계획(UNDP)은 2007년부터 3개년 계획으로 환경파괴와 자연재해를 예방하는 프로그램 초안을 만들었다가 중단됐으나, 2009년 1월부터 환경프로그램 지원 사업 등 7가지 프로젝트를 재개했다. 지난해 6월 유엔환경계획(UNEP)도 산하 ‘지속개발을 위한 환경기구(IESD)’를 통해 평양을 방문, 북한 당국과 협의를 진행했다.
김 교수는 “국가 간 기구 및 비정부 기구들이 북한의 경제 회생을 비롯한 환경문제 등에 대해 지원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며 “북한 측이 다음달 UNCCD 총회에 참석한다면 국제사회에서 원조와 협조에 대해 더 주목받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북한은 이날부터 16일까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UNCCD 아시아 지역 그룹회의’에 참석, 자국 내 토지황폐화와 관련한 분석들을 내놓을 예정이다.
우상규 기자 skw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