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상반기 20∼30대 취업자, 2012년보다 9만9000명 감소
中企·서비스업도 찬바람… 야심찬 고용정책 약발없어
박근혜정부가 ‘고용률 70%’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효과는 기대 이하다. 특히 정부가 가장 주력하고 있는 청년층, 중소기업, 서비스업 분야의 고용사정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10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취업자 수는 월평균 2475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만1000명 늘었다. 2010년 금융위기 여파로 전년에 비해 28만3000명 늘어난 이후 가장 소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2011년 상반기 41만3000명, 2012년 상반기 44만9000명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고용 증가세는 큰 폭으로 둔화했다.

정부는 청년층 고용확대, 중소기업 육성, 서비스업 활성화 등을 통해 일자리를 늘리겠다며 각종 대책을 내놨지만, 이들 분야의 취업자는 오히려 감소하거나 증가 폭이 둔화했다. 일자리 정책 효과가 현장에선 제대로 나타나지 않고 있다.

20∼30대 청년층의 경우 올 상반기 취업자가 926만70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9만9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7만9000명 줄어든 것보다 감소폭이 커졌다. 특히 20대 후반(25∼29세)과 30대 후반(35∼39세)의 일자리가 작년보다 각각 11만명, 10만명이나 감소했다.

중소기업 일자리 역시 대기업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둔화됐다. 종업원 300인 이상인 대기업의 올해 상반기 취업자는 212만2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2만5000명 늘었다. 전년(7000명)에 비해 1772.5%나 폭증한 것이다. 반면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취업자는 올해 2263만4000명으로 전년(2246만8000명)보다 16만6000명 늘었다. 지난해 44만2000명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절반 이하로 둔화했다.

정부가 각종 규제를 철폐해 고용을 늘리겠다고 한 서비스업도 상황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 이 분야의 상반기 취업자는 1612만6000명으로 작년에 비해 20만9000명 증가에 그쳤다. 작년 서비스업 취업자가 전년보다 47만6000명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증가 폭이 절반도 안 되게 줄어든 것이다. 내수침체 영향으로 도소매업(4만6000명 감소)과 교육서비스업(6만1000명 감소)이 큰 타격을 받았다. 반면 제조업은 올해 취업자 증가 수가 12만명이나 됐다. 작년에는 8만4000명 감소했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 경기침체가 올해 상반기 고용 시장에 지속적으로 악영향을 끼쳤다”고 말했다.

이귀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희애 '동안 미모'
  • 김희애 '동안 미모'
  • 하이키 휘서 '미소 천사'
  • 에버글로우 아샤 '깜찍한 미소'
  • 뉴진스 민지 '볼하트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