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서도 만성 성장침체 경고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2.3%를 기록했다. 작년 2분기 2.4%에서 4분기 1.5%, 올 1분기 1.5%로 떨어졌다가 반등한 것이다. 그러나 가계의 실질소득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은 작년 4분기 3.6%에서 올 1분기 0.3%로 급락했고 2분기에도 1.3%로 경제성장률의 반 토막 수준이다.
가계 소외 현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1991∼2011년 연평균 가계 소득증가율은 8.5%로 국내총소득(GNI) 증가율 9.3%를 밑돌았다. 그 결과 GNI에서 가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기준 61.5%에 불과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은 69.0%이며 미국(76.4%) 등 주요 선진국은 70%대이다.
소득이 제자리걸음이라면 부채는 뜀박질 중이다. 가계부채는 지난해 말 964조원에서 올 2분기 말 980조원으로 뛰었다. 1999∼2012년 가계부채 증가율은 연평균 11.7%로 가계소득 증가율 5.7%의 두 배다. 한국 가계부채에 대해선 외국 경제석학들도 우려를 나타낸다. 2008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프린스턴대 교수는 최근 강연에서 “한국의 가계부채가 누적될 경우 1990년대 버블 붕괴 이후 장기침체를 겪은 일본처럼 만성 성장침체를 겪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류순열 선임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