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고] 원전 수출 전략을 재점검하자

관련이슈 기고

입력 : 2014-02-16 21:39:36 수정 : 2014-02-16 21:39:3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얼마 전 인도를 국빈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은 방문에 앞서 인도 국영 DDTV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원전의 건설과 운영 그리고 안전에서 인도와 기술 교류와 협력을 할 수 있다면 아주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국가원수의 세일즈외교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며,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세일즈 대상 품목의 하나로 원전이 있다. 1기 건설비용이 3조원에 달하는 한국형 표준원전의 수출은 G20(주요 20개국) 일원인 우리의 확실한 경제지표이자 기술 한국의 상징인 동시에 역동적인 한류 문화의 근원이랄 수 있다. 우리는 그동안 불모의 땅에서 경제를 일으킨 원동력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미국 등 국제사회의 깊은 우려와 격심한 감시·감독과 견제 속에서 가장 안전한 원전을 만들어 한국형 표준원전이라는 라벨로 국제시장에 내놓았다. 나노분야 같은 극미세기술에서 300만개의 크고 작은 부품의 조합체인 초대형 고도의 기술집합형 상품인 셈이다.

양승윤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동남아학
우리나라가 미국·프랑스·캐나다·러시아·일본에 이어 여섯 번째 원전 수출국으로 등장하면서 내세운 강점은 세계 최고 수준의 운영 능력과 건설 능력이다. 2009년 말 한국산 도입을 결정한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공사의 무함마드 알함마디 사장도 한국 원전의 안전성과 30년 동안 축적된 원전 운영 능력을 수주 결정의 주된 요인으로 꼽았다. 이를 토대로 우리는 시급하게 원전 수출 전략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

우선, 내수용 전력의 원전 의존율에 대한 잦은 논란과 원전 점검에 따른 가동률의 수시 변동은 정부의 확고한 정책에 따라 최대한 억제돼야 한다. 다음으로 제반 원전 비리를 조속하게 매듭짓고, 국제사회에 원전 안전성 극대화를 위한 전면적인 소프트웨어 점검 차원이었음을 알리면서 그 결과와 향후 대책을 명확하게 공표해야 한다. 이와 같은 한국 원전에 대한 국제적인 신인도 제고를 위한 노력은 정부·비정부 채널을 통해 하루속히 적극적으로 전개돼야 할 것이다.

원유 고갈 이후의 대비책에 몰두하고 있는 중동 국가와 가파른 경제성장을 구가해 전력난을 겪고 있는 동남아 국가는 한국형 표준원전의 예비 고객이다. 문화적 성향이 우리와 상이한 중동과 동남아 국가의 고객 관리에는 시간과 공을 들여야 성과를 낼 수 있다. 당장 4월 초로 예정된 인도네시아 총선거 직후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방문할 예정이다. 이 나라는 지난 30년 동안 한국의 표준원전 도입을 저울질해 왔다. 동남아에서는 인도네시아 외에도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가 한국 원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중동에서도 UAE로부터 시너지 효과가 터키와 레바논 등으로 파급될 수 있다. 일부 지역에는 이미 전력 생산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공동 프로젝트가 한국의 기술진에 의해 진행 중이다. 그러므로 2030년까지 원전 80기를 수출해 세계 원전 건설의 20%를 점유하려는 우리 정부의 목표는 수출전략을 재점검하고 국민적 총화를 바탕으로 추진한다면 결코 꿈만이 아닐 것이다.

양승윤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동남아학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블랙핑크 지수 '여신이 따로 없네'
  • 블랙핑크 지수 '여신이 따로 없네'
  • 김혜수 '눈부신 미모'
  • 유인영 '섹시하게'
  • 박보영 '인간 비타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