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보도로 삭제 부분 추가 공개
사표 당시 경질설 등 뒷말 무성

본지가 지난달 28일 보도한 문건에 이 전 수석과 관련한 부분은 정씨가 이 전 수석에 대해 ‘근본도 없다’고 표현하며 퇴출 준비를 ‘지시’했다(사진 참조)는 내용이다. 동아일보가 이미 보도한 사안이어서 이를 추가 공개한다. 전남 곡성 출신인 이 전 수석은 2004년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 대통령이 당 수석부대변인으로 발탁하면서 인연을 맺었다. 박 대통령 정치입문 시절부터 동고동락한 정씨와 소위 ‘문고리 3인방’(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에게 이 전 수석은 ‘적통’이 아닌 셈이다. 이 전 수석을 비하한 표현은 정씨와 3인방을 제외한 세력에 대한 강한 견제 심리가 깔려 있어 보인다. 이 최고위원은 문건 내용에 대해 “길이 아니면 가지 말고 말이 아니면 듣지 않겠다는 말 이외에 할 말이 없다”고 밝혔다.
공교롭게도 박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렸던 이 전 홍보수석은 6·4 지방선거 직후인 5일 돌연 사표를 제출했다. 이 전 홍보수석이 청와대를 나오는 과정에 ‘문고리 3인방’의 역할이 있었는지 밝혀져야 할 부분이다. 당시 이 전 수석의 사표 제출을 둘러싸고 여권에서는 경질설이 제기됐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이 전 수석의 사표와 관련해 “(지난해 말부터) 청와대 대변인을 임명하는 과정에서 제안을 받았던 다수의 후보자들이 ‘이정현 수석과 함께 일하지 못하겠다’며 대변인 자리를 거부했고, 이에 박 대통령이 이런 문제 제기를 알게 됐다는 소문이 당시 파다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미 올해 1월 초부터 청와대에서 (이 수석 경질을 위한) 내부적 수순을 밟았다는 얘기가 많았다”고 전했다.
![]() |
‘정윤회씨 국정개입 의혹 문건’과 관련한 수사를 하고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의 검찰 깃발이 7일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남정탁 기자 |
여당 일각에서는 당시 7·30 재보선을 위한 차출설이 나왔으나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이 전 수석이 정국 돌파를 위해 차출을 당했다면 당연히 서울 동작을 지역구를 받아야 했으나, 이 전 수석은 여당 지도부의 반대에 부딪혀 한참 뒤 여당의 불모지이자 자신의 고향인 전남 순천·곡성에 출마했다.
남상훈·조성호 기자 nsh2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