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광객이 제주도 정물오름 등산로 사이에 낮게 깔린 억새를 보며 가을 정취를 만끽하고 있다. 제주에는 한라산을 중심으로 산봉우리 같은 크고 작은 368개의 오름이 있다. 가을철에는 억새가 장관을 이뤄 관광객 발길을 끈다. |
오름은 가을철이면 억새가 장관이다. 제주도 억새 하면 노꼬메오름과 세별오름 등 이름난 곳이 많지만 기자가 찾은 곳은 찾는 이들이 많지 않고, 쉽게 오를 수 있는 정물오름이다. 표고 469m로, 서북쪽으로 넓게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가진 오름이다. 오름 서북쪽으로 두 팔을 벌린 형태의 비탈 아래 기슭에 ‘정물’이라 불리는 쌍둥이 샘이 있는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 |
정물오름은 오르기 쉬운 데다 찾는 이가 많지 않아 조용한 사색을 원하는 이들에게 제격이다. |
![]() |
제주 정물오름. |
정물오름은 제주 제일의 명터로 여겨진다. 안내인에 따르면 옛날에 금악리에 살던 강씨 성을 가진 이가 죽었는데, 그가 키우던 개가 죽은 이의 상체 옷자락을 물고 이곳에 끌고 와서 엎드렸고 한다. 알고 보니 그 개가 엎드린 곳이 바로 옥녀금차형(玉女金叉形: 옥 같은 여자가 비단을 짜는 형국)의 명당이라고 한다. 이후 그 개도 한 식구로 살다가 그의 곁에 묻혔다. 그래서 이곳에는 강씨 성을 가진 이들의 묘가 많다. 이곳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제주 오름에는 제주인들의 무덤이 있다. 제주 사람들은 오름에서 태어나 오름으로 돌아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
곶자왈 정글공원 '환상숲' |
다음으로 찾은 곳이 현경면 곶자왈 정글공원인 ‘환상숲’이다. 곶자왈은 각각 숲과 자갈을 뜻하는 제주 사투리 ‘곶’과 ‘자왈’이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다. 화산이 분출할 때 점성이 높은 용암이 크고 작은 바위 덩어리로 쪼개져 요철(凹凸)형이 만들어진 지형이다. 용암이 남긴 이 같은 신비한 지형 위에서 독특한 생태계가 유지돼 보존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이곳의 특징은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다는 점이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북방한계식물과 남방한계식물이 공존한다.


![]() |
제주 녹차미로 공원. |
서귀포시 색달동에 있는 제주다원·녹차 미로공원은 약 16만5000㎡(5만평) 차밭을 배경으로 펼쳐진 차 명소다. 중문관광단지에서 10여분 걸리는 곳으로 차밭에 1, 2, 3코스의 미로를 만들어 놓았다. 입장객에게는 가마솥, 덖음차, 홍차, 야생차, 보이차 등을 제공한다.

제주=글·사진 박태해 선임기자 pth1228@segye.com
<세계섹션>세계섹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