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가야 할 방향대로 의장으로서는 뚜벅뚜벅 갈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오후 예정된 청와대 신년 인사회를 언급, "오후쯤에 (인사회에) 갔다 와서 행동에 들어가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정 의장은 여야가 잠정 합의했던 지역구 253석 안을 다시 논의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굉장히 중요한 사안으로 본다"면서 "여야 대표들과 가장 원만한 것이 무엇인지 조금 논의해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또 획정위가 의사결정을 하지 못하는 것이 내부 구조 때문이라는 지적과 관련해서는 "그런 점도 있다"면서 "그래서 (위원 비율을 여야 추천) 4 대 4로 하기보다 3 대 3 대3으로 하고 중립적 위치에 있는 국회의장이 세 사람을 추천하게 (하는 게 좋 다)"고 말했다.

이어 "의장으로선 사실 특별한 카드가 있는 것은 아니고, 오늘부터라도 여야가 다시 책상에 앉아 머리를 맞대도록 중재하는 일을 하실 것"이라며 "오늘부터 아마 그런 협상을 만들어내기 위한 노력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사무총장은 여야 정치권에 대해서는 "국회가 법을 만드는 곳이고 가장 먼저 법을 준수하는 기구임에도 이렇게 초법적인 상황을 스스로 초래했다는 것은 국민에게 변명의 여지가 별로 없다"면서 "무책임 정치의 극치라고 비판받아도 할 말이 없다"고 말했다.
또 "선거구 획정 문제는 입법 비상사태"라며 "사실 선거구 획정이 늦어질수록 현역 의원만 기득권을 누리는 결과가 되지 않느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박 사무총장은 새누리당이 쟁점법안을 선거구 획정안보다 먼저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데 대해서는 "쟁점법안을 선거구와 연계시키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면서 "무법상태를 하루라도 빨리 종식시키는 것은 국정을 책임진 정부 여당의 의무"라고 말했다.
또 쟁점법안을 직권상정하라는 여당의 요구에 대해서도 "국회선진화법이 위헌 법률임을 전제로 직권상정 하라는 요구인데, 이를 받아들이면 의장에게 '악법은 지키지 않아도 된다'고 선언하라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면서 "선진화법은 위헌 판정이 난 것도 아니고, 사실 정의화 의장이 끝까지 반대했던 법안이고, 여당이 주도해서 만든 법 아니냐"고 말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