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현장에선] 기초과학 투자 멀리 보자

입력 : 2016-02-15 20:17:16 수정 : 2016-02-15 20:17:1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100년 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주창한 중력파를 직접 검출하는 데 성공한 라이고과학협력단(LSC)의 쾌거는 세기의 발견으로 기록됐다. 우주를 연구하는 ‘중력파 천문학’이라는 새로운 기초과학의 탄생을 알리는 시발점으로 평가받는다. 아울러 사상 최대 규모의 고성능 중력파 관측장치인 ‘라이고’(LIGO·레이저간섭중력파관측소)를 중심으로 미국과 한국을 비롯한 13개국 협력연구단이 16년간 매달린 끝에 밝혀낸 역사적인 성과로, 향후 중력파를 이용한 후속연구로 인류는 우주를 이해하는 데 한발 더 다가설 것으로 기대된다.

중력파 후속 연구는 국가 간 치열한 경쟁양상으로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과학재단(NSF)이 단독 투자하는 과학 프로젝트로는 규모가 가장 큰 라이고를 통해 후속 연구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NSF는 이 프로젝트에 2000년부터 8억2000만달러를 쏟아부었다. 우리 돈으로 치면 1조원 가까이 투자한 셈이다.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합작한 중력파 관측장치인 ‘어드밴스트 비르고’는 최근 재가동에 들어갔고, 영국과 독일이 합작한 ‘지오 600’ 관측소도 가동 중이다. 일본은 독자적으로 ‘카그라’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고, 인도는 NSF와 함께 라이고를 개량한 ‘라이고-인도’를 건설하기로 했다. 중국 역시 최근 독자적인 중력파 검출 프로젝트인 ‘톈친 계획’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고 외신은 전했다. 유럽우주기구(ESA)는 관측 탐사선을 2034년 쏘아 올려 우주에서 직접 중력파를 검출할 계획이라고 한다.

황계식 산업부 차장
중력파 연구시설이 없는 우리도 이번 중력파 검출의 국제공조에 참여한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KGWG)을 중심으로 라이고와 검출방법이나 센서 형태 등이 전혀 다른 독특한 검출기 ‘소로그’를 만들고자 개념설계에 착수할 방침이라고 천명했으나 실현 여부는 미지수이다. 정부의 든든한 지원을 등에 업은 다른 나라와 달리 한국은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을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다. KGWG가 그동안 받은 국가 R&D 예산은 2011∼2013년에 걸친 3억원이 전부다. KGWG 연구진은 사비를 털어 국제연구에 동참했는데, 앞으로도 사정이 나아질 보장은 없다.

우주 관측에 새 지평을 열 중력파 천문학을 비롯한 기초과학에 국가적인 R&D 역량을 집중하는 선진국에 비해 한국 정부는 당장 몇 년 후 주력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미래 먹거리 발굴에 연구역량을 쏟아붓고 있는 게 현실이다. 국가 R&D를 총괄하는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업무계획에서 우주산업 투자를 본격화해 200억원을 들여 달 탐사사업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우주산업의 기초인 천문학 분야에서는 언감생심 꿈꿀 수조차 없는 거액이 투자되는 셈이다. 수출로 먹고살아야 하는 우리 경제구조에서 산업에 국가 R&D 역량을 집중하는 일은 어쩔 수 없다손 치더라도 투자 우선순위에서 매번 기초과학이 산업에 뒤져서는 더 먼 미래의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없다. 지난해 정부 R&D 예산 중 기초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8.1%에 그쳤는데, 선진국 수준인 50%까지 끌어올려야 한다는 게 과학계의 지적이다.

황계식 산업부 차장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