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개인의 역량과 경험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에 타인과의 비교에 의존하는 ‘줄 세우기식 경쟁’을 완화시켜준다. 주목할 만한 소양과 특기를 차근차근 쌓아온 학생이라면 누구나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권오현 서울대 입학본부장 |
셋째, 고교와 대학이 평가권을 나누는 점도 큰 장점이다. 학교가 평가한 내용을 대학이 해석을 하는 방식이기에 대입전형에서 민감하게 여기는 평가권의 균형이 잘 이뤄져 있다. 학교와 대학이 연계해 국가·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협력적으로 키워보자는 합의가 암묵적으로 형성돼 있는 것이다.
학생부종합전형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의 질적 향상이 동반돼야 한다. 특히 교실 수업이 강의와 협동학습 및 탐구활동을 조화롭게 운영해 교사가 학생들을 개별적으로 관찰하고 이를 학생부에 바르게 기록하는 체제가 자리 잡아야 한다. 아울러 대학입시를 겨냥한 보여주기식 비교과 활동이 아니라 학생이 교실 수업과 연동해 관심사를 스스로 확장해 가는 방식의 교과 외 활동이 바람직하다. 사교육 업체 등을 통해 이른바 ‘관리된 스펙’이 막연히 서울대 입시에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다.
학생부종합전형이 제대로 자리 잡으면 우리나라의 오래된 걸림돌인 ‘자존심’ 중심 교육이 ‘자존감’ 중심 교육으로 바뀌어 갈 것으로 보인다. 자존심이 남과의 비교를 통해 더 높은 위치를 확보하도록 압박하는 반면, 자존감은 다른 학생을 의식하기보다는 자신의 세계를 차분하게 만들어가는 내적 근력을 키워준다. 학생부종합전형의 정착을 통해 학생들이 가장 자기다운 모습을 갖춘 인재로 성장해 가고 그 결과가 대학진학으로 이어지는 교육 생태계가 무르익어 가길 기대한다.
권오현 서울대 입학본부장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